모성 간호학 수업시간에 고위험 임신에 대해 배우던 중 임신성 고혈압에 대해 알게 되었다. 중증 자간전증으로 인한 경련이 산모에게 불안감과 직접적인 위해를 줄 수 있어서, 예방적 치료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또한, 이 사례를 작성하며 자간전증에 대한 심도 있는 학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여 선정하였다.
2. 해당 질환에 대한 통계적인 자료
임산부 3대 사망원인은 출혈, 감염, 임신중독증이며 그 중 1위는 임신중독증이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매년 임신중독증으로 사망하는 임산부 수가 연간 7만 6천여 명이며 태아는 50만 명에 달한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2018)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전자간증’ 진료 인원은 2013년(1,921명)부터 2015년 (2,745명)까지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임신성 고혈압’ 진료 인원 역시 2013년(1,964명)에서 2015년(2,745명)에 이르기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임신부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임신중독증 인식 실태조사이다. 결과는 임신부 10명 중 8명(79.2%)은 체중의 급격한 증가(44.4%), 부종(18.6%) 등 초기 자각 증상부터 심한 두통 (39.2%), 우측 상복부 통증 및 심와부 통증 (19%), 시력장애(13.6%), 고혈압(11.6%), 단백뇨 의심(10%), 소변량의 현저한 감소(4.6%) 등 중증 자각 증상까지 다양한 임신중독증(전자간증) 자각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자각증상을 경험한 임신부들의 약 40%(39.9%)는 증상들을 당연한 임신 증상이라 생각하고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는다고 답변 하였고, 이를 통해 임신중독증에 대한 올바른 인지 및 경각심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10명 중 단 2명(24.0%)의 임신부만이 자각 증상을 경험 후, 산부인과 등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다고 답변하였으며, 그 외의 임신부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거나(31.6%) 지인에게 자문을 구한다(4.0%)고 응답해 적절한 대처 역시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로슈진단)
참고자료
· 김연미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12판. 서울 : 현문사; 2021.
· 천의영 외. 기본간호학Ⅰ. 8판. 파주 : 수문사; 2020.
· 이인경, 최자윤. 간호사의 병원낙상 예방활동에 미치는 요인, 재활간호학회지, 16(1), 한국재활간호학회, 2013, p2.
· http://dx.doi.org/10.7587/kjrehn.2013.55
· 조은경, 성미현, 이윤신, 석소현,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를 위한 낙상예방교육프로그램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1), 한국콘텐츠학회, 2019, p8.
· https://doi.org/10.5392/JKCA.2019.19.11.190
· 의료용 압박스타킹 [Internet]. 부산: 2019 [cited 2022.04.08.]. Available from:
· https://www.youtube.com/watch?v=OV5O4A0sEvw
· 의료용 압박스타킹 착용 시 혈관의 변화는? [Internet]. 2020 [cited 2022.04.08.].
· Available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GeCB6rtNkPM
· 이은희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1판. 서울 : 고문사; 2021. p. 217-222, 324
· 서울아산병원. 자간전증. preeclampsia. 인터넷. 서울: 서울아산병원(2022. 04. 06)
· 건강정보심사평가원. [internet]. 2020 [cited 2022.04.08.]. Available from:
· https://m.post.naver.com/my.naver?memberNo=189112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