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 목적
광중합에 의한 중합법 습득
광중합에 대한 이해 및 공중합체 소재 특성에 대한 이해
2. 실험 원리
1) 광중합(Photopolymerization)
반응 시 열 대신 빛에 의한 에너지 공급으로 라디칼을 생성하여 중합하는 것.
빛에너지로는 주로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을 사용함.
고분자 화합물 구조에서 반복 단위의 기초가 되는 비교적 분자량이 작은 화합물에 빛을 조사하면 단위체가 빛을 흡수, 활성화되어 연쇄적으로 중합반응이 일어남.
선택적인 중합이 거의 불가능한 열중합과 달리 광중합은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하는 photoresist 고정처럼 마스크를 이용하여 필요한 부분만 빛에 노출함으로써 중합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진행 가능함.
광원을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반응 종결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참고자료
· Introduction to polymers 3rd edition, Robert J. Young· Peter A. Lovell, pp.6-8.
· "광중합“, 『네이버 화학용어사전』(2023.05.20)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3963&cid=42420&categoryId=42420
· "공중합체“, 『네이버 화학용어사전』(2023.05.20)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07642&cid=62802&categoryId=6280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