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colon cancer, hemicolectomy(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간호사정, 질환고찰 모두포함)"에 대한 내용입니다.
간호진단
1. 수술 절개 상처로 인한 조직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2. 침습적 시술에 근거한 감염의 위험
3. 수술 절개 부위 통증으로 인한 활동 감소에 근거한 위장관 운동 기능장애의 위험
3개의 진단 모두 간호과정 있습니다.
"(A+) case study, colon cancer, hemicolectomy(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간호사정, 질환고찰 모두포함)"에 대한 내용입니다.
간호진단
1. 수술 절개 상처로 인한 조직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2. 침습적 시술에 근거한 감염의 위험
3. 수술 절개 부위 통증으로 인한 활동 감소에 근거한 위장관 운동 기능장애의 위험
3개의 진단 모두 간호과정 있습니다.
목차
(1) 간호력(Nursing History)
(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1) 병인론(Pathphysiology)
2) 임상증상(Clinical Manifestation)
3) 치료(Treatment)
4) 간호(Nursing Care)
(3) 대상자의 간호과정(Nursing Process for this case)
1) 초기 사정자료(성인 대상자 사정도구를 이용하여)
2) 성인 대상자 신체사정
3) 낙상 위험 사정
4) 욕창위험도 사정
5)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6) 대상자의 약물치료
7) 간호과정(Nursing process)
본문내용
① 질병의 정의 및 원인
결장암의 대부분은 선암(샘암, adenocarcinoma)으로 양성종양인 선종성 용종에서 유래한다고 알려져있다. 또한, 어느 연령에서나 발병하나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남녀성비 1.3:1로 발생률은 비슷하다. 이러한 결장암은 식생활의 서구화로 육류 및 동물성 지방의 섭취가 늘어나면서 발생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2022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20년 우리나라에서는 대장암이 27,877건으로 전체의 11.2%, 3위를 차지했고 그 중 결장암은 16,130건으로 전체의 6.5%를 차지했다.
결장암 발병 위험요인에는 ¹50세 이상의 연령 ²식이요인(고지방·저섬유소) ³신체활동 부족 ⁴비만(발생위험도: 1~5~3.7배↑) ⁵ 음주 ⁶유전적 요인(약 10~35%) ⁷선종성 용종 ⁸염증성 장질환(발생위험도: 4~20배↑) 등이 있다.
② 병태생리
대부분은 결장암은 선종성 용종이 결장의 가장 안쪽 층인 점막에서 시작하여 점점 커지다가 일부가 암이 되어 장벽으로 침윤해 림프계로 퍼지게 된다. 또한, 결장직장의 종양은 주로 간으로 전이되고 이후 폐·뼈· 뇌로 전이되는데, 이는 정맥혈류가 문맥으로 흐르기 때문에 간으로 가장 전이가 잘된다.
악성 종양은 위에서부터 횡행결장까지 인접해 있는 기관에 침범함으로써 간으로는 림프·혈액을 통해, 복강 내로는 암세포가 직접 퍼지거나 이식에 의해 퍼진다. 방광, 요관, 생식기관에도 직접 침범되며, 방광과 장 사이·장과 질 사이에도 누공이 생겨 전이되는 경우도 있다.
결장암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 암이 이미 많이 진행된 것이기 때문에 빠른 치료를 위해서는 직장암의 병기(stage)를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병기란 암의 진행 정도·단계·수술 후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이며, 정확한 병기는 수술로 절제된 병변의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서만 알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