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 문예창작 ]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의 명칭과 차이점
- 최초 등록일
- 2004.10.29
- 최종 저작일
- 2004.09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국문과에 다니는 학생입니다. 수용이론과 독자중심비평을 여러가지 이론들과 비교 분석한 레포트입니다. 정말 노력해서 쓴레포트입니다. 쓴지 얼마 안된거라 시중에 돌고 있지도 안을껍니다^^*
목차
Ⅰ.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의 명칭과 차이점
Ⅱ. 개관 및 특성
Ⅲ.독자중심 비평의 전개
(1) 수용미학의 대두
(2) 형식주의와의 관계
(3) 현상학과의 관계
(4) 구조주의와의 관계
Ⅳ. 참여자 및 방법론
(1) 잉가르덴의 층이론
(2) 피쉬의 정통독자
(3) 리파테르의 초독자
(4) 야우스의 수용미학과 기대지평
(5) 볼프강 이저의 수용미학과 독서이론
Ⅴ. 문제점 및 한계
Ⅵ. 독자중심비평의 실제
1. 이광수의 <무정>에 대한 다양한 독자 반응
본문내용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은 이전의 형식주의와 마르크스 비평에 대한 반동으로 독일에서 시작되어 미국으로 확산되었다. 이는 영향 미학적인 재래의 작가와 작품보다 수용미학적인 독자를 문학 연구의 중요 요소나 문학 연구의 중심에 놓고자 하는 독자 지향의 비평방법이다. 이 이론에는 수용미학(受容美學)이나 수용이론 그리고 독자반응비평 또는 독자중심비평 등의 용어가 뒤섞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굳이 이 개념을 구별해 본다면 수용미학(Rezeptions sthetik)이나 수용이론이라는 것은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권 문학이론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독자반응비평(Reader-Response Criticism)은 미국 비평계를 중심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홀럽(Robert C, Holub)은 수용미학, 수용이론, 독자반응비평을 구별하고자 했다.이를테면 수용미학은 야우스(Hans Robert Jauss, 1921∼ )의 초기 이론적 저술만을 한정하는 용어로 지칭했다. 그런데 독자의 수용적 측면을 지향하거나 중시하는 독일의 문학이론 일반을 수용미학 또는 수용이론이라 지칭된 비평이론이 1960년대 말의 서독에서의 사회적·지적·문화적 발전에 대한 하나의 반동으로 일어난 결속이 있는 의식적이며 집단적 비평운동으로 홀럽은 보고 있다. 이에 반해서 뒤늦게 80년대 무렵에 미국에서 시작된 독자반응비평(독자중심비평)은 비운동성, 비집단성, 비학파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구별된다고 보았다.
참고 자료
문덕수 외, 『현대의 문학 이론과 비평』, 시문학사, 1991
박덕은, 『현대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새문사, 1989
박찬기 외, 『수용미학』, 고려원, 1992
정정호·장경렬·박거용 편, 『현대영미비평의 이해』, 문학과비평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