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과 협동학습구조
- 최초 등록일
- 2004.10.29
- 최종 저작일
- 2004.10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사호교육 교재연구 및 교수법 책에 나와있는 내용을 정리해본 것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 협동 학습의 이론적 기초
1. 학습구조이론과 협동학습
2. 협동학습의 특징
3. 협동학습의 이론적 기초
1) 동기론
2) 인지론
3) 사회적 응집이론
4) 연습이론
Ⅲ. 사회과의 특성과 협동학습
1.사회과의 어원적 특성과 협동학습
2. 민주시민교육과 협동학습
3. 사회과 행동목표와 협동학습
1) 지식
2) 기능
3) 가치와 태도
4) 사회적 참여
4. 사회과 협동학습의 실험적 연구와 협동 학습
Ⅳ. 사회과 협동학습의 조건
1. 사회적 기술의 훈련
2. 학습스타일의 변화
3. 아동의 특징 고려
4. 소집단 활동의 활용
5. 협동학습에 대한 개념적 이해
6. 협동학습 규칙에 대한 합의와 준수
7. 학습과제의 적절성
8. 교사의 역할
Ⅴ. 결론
본문내용
오늘날 사회과 수업의 전형적인 모습은 ‘바쁜 교사와 심심한 학생’이다. 훌륭한 교사는 열강하는 교사이고, 훌륭한 학생은 선생님 강의를 빠짐없이 열심히 듣고 있는 학생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수업의 형태에서 유일한 학습자료원은 교사가 되고, 학생의 학업성취는 교사의 능력과 태도에 크게 좌우된다. 학생은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관계없이 교사와 교과서가 정해준 주제와 학습목표 내에서 학습을 해야 한다. 학생은 동료들로부터 학습정보를 얻을 수도 없고, 얻으려 하지도 않는다. 동료들로부터 학습정보를 얻을 시간이나 같이 학습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또한 동료와의 정보교환은 신뢰성이 의심되고 위험부담이 있기 때문에 동료와의 교류를 기피한다. 유일한 정답은 교사가 갖고 있기 때문이다. Stahl은 이러한 전통적 학교학습의 학습자를 외로운 ‘지적 이방인’으로 표현하였다. 오늘날 사회과 수업의 학습자들은 본질적으로 똑같은 방식으로 똑같은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학습활동을 하면서도 아무런 정보나 도움을 교류하지 않는 동질적인 외로운 지적 이방인이다.
‘지식’과 ‘지식을 얻는 방법’ 자체가 사회적 산물이자 사회적 과정이므로 사회과의 학습활동 자체가 사회적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수업 모습은 교사와 학생 사이의 직접적 상호작요에 국한된 최소한의 사회적인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셈이다.
한대는 이에 대한 비판과 함께 학습자 중심의 수업 운동이 ‘개별화 수업’이라는 이름으로 전개되기도 하였다. 이것은 수업의 주체를 ‘교사’와 ‘교과’에서 ‘학습자’에게로 옮기는 성과를 가져왔지만, 여전히 학습자들 간의 지적인 상호작용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학습자는 계속 외로운 지적 이방인으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었다. 특히 사회과는 교과의 특성상 내용적으로는 사회 문제를 많이 다루고, 수업 방법으로는 토론이나 집단 탐구 등 사회적 학습활동을 강조하는 교과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소집단 실험 활동을 많이 하는 자연과학 계통의 교과에 비해서도 더 비사회적 수업활동을 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최근 학습 구조이론에서 강조하고 있는 협동학습구조는 수업이론으로서 뿐만 아니라 교실의 개혁운동으로 오늘날 교실 수업방법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협동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협동학습이 학급 학생 수나 교과의 종류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지적인 영역은 물론이고 정의적 영역에서도 탁월한 수업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학습동기론과 인지론 등에 바탕을 둔 이론적 근거와 함께 수많은 모형들이 개발되고 보급되었고, 많은 실험적 연구들이 그러한 성공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Joyce와 Weil이 지적했듯이 모든 교과나 내용에 적합한 유일한 수업모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각 교과마다 그 교과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각 교과의 입장에서 보는 협동학습에 대한 관점도 매우 다양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협동학습의 효과를 지<font color=aaaaff>..</font>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