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생물다양성 필기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Biodiversity:
Humanity and the biodiversity crisis
왜 Biological Diversity에 관심을 갖냐?
[Biodiversity]= biological diversity
- 오래된 용어는 아님, 1960년대 naturalists(박물학자)에 의해 도입
- 정치계에서 많이 언급함: 사람이 살아가는 환경에 대함
- CT: cultural technology / ET: environmental technology
- 미디어에 의해 유명해짐: 생물다양성협약 (CBD)
[생물다양성협약(CBD,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 생물다양성, 기아 등에 대한 주제
- 미국 부통령 “앨 고어”: 기후 변화에 대해 언급, 기후변화에 의해 생물다양성이 위협을 받음
- 크게 협약 프로토콜이 카르타헤나의정서, 나고야의정서로 나뉨
- 카르타헤나의정서: biosecurity(생물안전성)
- 나고야의정서: 생물다양성의 유전자원 등을 이용한 이익 공유와 관련
생물다양성 협약 전문
1. biosphere(생물권) 내의 생물다양성의 역할이 무엇인지
2. 생물다양성의 depletion(고갈)에 대한 인류의 책임
3. 생물다양성 conservation(보존)을 위한 평가방법 개발
4. 생물 자원의 conservation(보존)과 exploitation(이용)을 넘어서는 sovereign rights(주권행사)에 관련된 내용
ex.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의 식물인데 예전에 외국으로 넘어감, 로열티를 받을 수 있으나 현재는..?
[생물다양성에 관련된 4가지 이슈]
1. 미래세대의 heritage(유산)으로서 patrimony(자연유산)을 보존해야 함
2. 생물다양성을 이끌어내는 conditions(조건), causes(원인) 등을 이해
3. 기능적 생태학, biocomplexity(생물복잡성) 등 새로운 개념을 이해
4. 유용한 자연으로서 생물다양성의 이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