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선 측량의 정의
노선의 계획 ·설계 ·공사를 위하여 실시한다. 교통로(철도 ·도로), 발전용 ·상수도용 ·관개용 등의 수로(水路), 송전선의 경로 등이 모두 노선이다. 측량작업의 내용은 교통로의 경우, 기존의 지도나 서류 등을 조사하고 현지를 답사하여 지상에 대강의 노선(필요하면 2~3개의 비교노선)을 설치하거나, 기존의 지도상에서 측량하여 노선을 선정한다.
최종적으로는 곡선을 포함한 노선에 따라서 보통 20 m마다 중심 말뚝을 박는다. 어느 경우나 평면도 ·종단면도 ·횡단면도를 작성하여 성토(盛土) 및 절토량(切土量)을 계산한다.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최적 노선을 자동으로 선정하는 방법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략>
3. Discussion
이번 측량은 노선 측량이었다. 토탈스테이션을 사용할 때 시간이 가장 많이 소모됐는데 조교님이 쉽게 잘 설명해 주셔서 빨리 사용법을 알게 되었다.
이번 노선 측량은 위에서 말했다시피 자세하게 배우고 측량을 하여 알고 있는 내용이 나와서 재밌었다.
이번 측량은 다른 측량과는 다르게 오차가 나오지 않았다. 아무래도 기계가 측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그런 것 같다. 오차보정을 하지 않아 좋았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