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개발] 석회동굴의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와 보존방향
- 최초 등록일
- 2004.10.21
- 최종 저작일
- 2004.09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인터넷에서 붙여넣기한것이 아니라
직접 문헌을 참고해서 작성한 것입니다!
좋은자료로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석회동굴의 특성과 발달
2. 석회동굴의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3. 관광자원 개발에 따른 문제점
4. 석회동굴의 보존방향
Ⅲ. 결 론
본문내용
우리나라의 전 국토의 20%가 석회암 지대인데 주로 석회암은 조선 누층군 옥천지향사 지역에 많이 매장 되 어 있다. 강원도 삼척, 영월, 정선 등의 태백산 지역과 이에 인접한 충북 단약 및 경북의 일부지역에 폭넓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석회암 지대에는 여러 가지 카르스트 지형이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카르스트 지형으로 석회동굴이 가장 많이 알려졌다. 석회동굴은 지표수가 지하로 스며들면서 석회암이 물에 녹아 용식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다. 이런 과정을 수백 년에 걸쳐 되풀이 하면서 형성된 석회동굴 내부에는 종유석, 석순, 석주 등의 다양한 스펠레오뎀이 형성되어 있다. 석회동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여러 가지 스펠레오뎀 역시 단기간에 의해서 만들어 진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에 걸쳐 만들어진 것이다. 석회동굴은 빛이 들어오지 않는 지하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속에는 기이한 생물 종 들이 다양하게 분포해 있으며 박쥐들의 서식처로 이용되기도 한다.
이처럼 석회동굴은 지표에서 볼 수 없는 지형으로서 학술적인 연구의 중요성이 매우 크게 나타나기도 하며 최근에 들어서는 세계 유네스코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정도로 그 가치를 매우 높게 평가 되고 있다. 그에 따라 각 지방자치 단체에서는 석회동굴을 관광자원의 일부로서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최근에 이르러 여러 석회동굴이 개발되어 일반인들에게 관광지로 개방됨으로써, 석회동굴에 대한 더 많은 이해와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석회동굴의 특성과 생성과정을 살펴보고 석회동굴의 가치와 관광자원으로 개발에 따른 문제점, 계속적인 개방을 위한 보존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2003, 권혁재, 지형학, 법문사
2002, 김주환, 지형학,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2, 우경식, 동굴, 지성사
2002, 2002년 전국자연동굴조사, 국립환경연구원, 환경부
http://www.cave.pe.kr
2000, 동굴자원의 보존과 가치증대를 위한 한중일국제심포지엄, 삼척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