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수두 감염병 관리/ 지역사회간호학 A+ 받은 과제입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수두
1. 개요
2. 발생현황 및 역학적 특성
3. 감시
4. 역학조사
5. 진단 및 실험실 검사
6. 치료
7. 환자 및 접촉자 관리
8. 예방
Ⅱ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개요
1) 병원체
(1)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
● Herpesviridae, Varicellovirus에 속하는 양가닥 DNA 바이러스
● Human herpesvirus 3으로도 불리며 소아에서 발생하는 수두와 잠복상태로 있다가 성인이 되어재발되는 형태인 대상포진의 원인병원체임
2) 역학적 특성
(1) 감염경로: 수포성 병변에 직접접촉, 호흡기 분비물의 공기전파를 통해 감염
(2) 전염기간: 발진 1~2일 전부터 모든 피부 병변에 가피가 생길 때까지
3) 임상 양상
(1) 잠복기: 10~21일(평균 14~16일)
(2) 임상 증상
● 선천성 수두: 임신 20주 이내에 수두에 감염된 어머니에서 태어나는 신생아는 선천성 수두 증후군이 발생할수 있음. 저체중, 사지 형성 저하, 피부 가피, 부분적 근육 위축, 뇌염, 뇌피질 위축, 맥락망막염과 소두증 등 다양한 이상소견이 나타남
참고자료
· 질병관리청 - 2020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관리지침
· 질병관리청 – 2022년도 감염병 관리 사업 안내
· 서울아산병원 -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1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