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자궁목 상피내 종양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 CIN)
(1) papanicolaou(pap) smear의 시행목적
(2) CIN이 보통 잘 발생하는 부위
(3) Bethesda system의 pap smear 결과
(4) CIN시 시행하는 management
(5) 출처
5) 자궁경부암
(1) 원인
(2) 주요 임상 증상
(3) 진단검사
(4) 병기(Stage)
(5) 치료
(6) 예후
(7) 출처
(8) 사례
6) 자궁내막암
(1) 원인
(2) 주요 임상 증상
(3) 진단검사
(4) 병기(Stage)
(5) 치료
(6) 예후
(7) 출처
(8) 사례
7) 난소암
(1) 원인
(2) 주요 임상 증상
(3) 진단검사
(4) 병기(Stage)
(5) 치료
(6) 예후
(7) 출처
8) 자궁경부의 제자리암종(carcinoma in situ of cervix, 자궁경부의 상피내암)
(1) 질환의 정의
(2) 질환의 원인
(3) 질환의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6) 예후
(7) 출처
(8) 사례
3. 수술 전/후 간호관리(부인과 수술 종류)
1) 수술 전 간호관리
2) 수술 당일 간호관리
3) 수술 후 간호 관리
4. 자궁절제술(hysterectomy)
1) 자궁절제술의 종류
2) 자궁절제술시 수술 전 간호
3) 자궁절제술시 수술 후 간호
본문내용
2. 생식기 건강문제 간호
1) pelvic inflammatory disease(PID)
(1) 위험요인
골반염은 성접촉이 활발한 25세 이하의 여성, 다수의 성파트너가 있는 경우 위험률이 증가한다. 또한 높은 성교 횟수, 이전에 골반염을 앓았던 사람, 자궁 내 피임 기구나 골반 기구의 사용 등이 위험요인이 된다. 골반염을 일으키는 원인은 주로 세균이며, 임균(Neisseria gonorrhoeae)과 클라미디아 균(Chlamydia trachomatis)이 가장 흔한 성 전파성 질환의 원인균이다. Provolla, Peptostreptococci, Gardnerella vaginalis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인플루엔자균(Haemophillus Influenzae), A군 연쇄구균(Group A Streptococcus), 폐렴구균(pneumococcus) 등도 골반염의 원인균이 될 수 있다.
(2) 증상과 징후
골반염의 증상으로는 골반통과 자궁경부 운동성 압통, 자궁부속기(난소와 난관)의 압통의 3대 증상과 체온상승 등의 증상이 있다. 임상증상은 주로 월경기간, 월경 직후에 나타나며 하복통, 골반통, 복부팽만, 질 분비물의 증가, 오심, 구토, 월경량 과다, 백혈구 과다증, 배뇨 시 불편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무증상인 경우도 있다.
(3) 진단 검사
일반 진찰, 문진, 내진이 필요하며 확진을 위해 도말검사 혹은 배양검사를 시행한다. 월경 직후의 하복부 통증은 PID의 의심 증상이다. 질경을 통해 시진을 한 후, 질분비물 도말검사를 통해 균을 배양한다. 통증, 압통, 근육강직이 있기 때문에 내진 시 촉진은 어렵다. 양측 하복부 압통은 누를 때 아프고, 땔 때 다시 아픈 것이 특징적인 소견이다.
염증의 징후를 확인할 수 있는 혈액검사와 활력징후(특히 38도 이상 발열)도 진단에 도움을 준다. 혈액검사에서 염증지표의 상승 및 백혈구의 증가가 나타날 경우, 골반염 진단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증상이 심한 경우, 자궁내막생검(자궁내막염을 확인), 초음파검사 혹은 기타 영상검사(골반강 내 농양의 유무를 확인)를 시행할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