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크시대의 음악부터 분석해 나아가며,
바흐라는 음악가에 대해서도 시대에 따른 활동과
작품을 분석하여 담았습니다. 특히,브란덴부르크협주곡을 분석하는 데에 주력했습니다.
목차
▶ 머리말
▶ 본문 1. 바로크음악이란?
- 바로크 시대 음악의 양식 및 배경
- 바로크 시대 음악의 특징
-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들
▶ 본문 2. 바흐의 생애
- 바흐의 가계
- 학습시대
- 아른시타트 뮐하우젠시대
- 바이마르시대
- 쾨텐시대
- 라이프찌히시대
▶ 본문 3. 바흐의 작품
- 바흐의 작품 개설
- 바흐의 형식별 음악의 특징
- 바흐의 시기별 음악의 특징
- 바흐 작품의 양식 요소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바흐의 사망 후 음악사는 고전파에 이르는 새로운 경향으로 바뀌었기에 그의 작품은 오랫동안 세상에서 잊혀져 있었다가 19세기의 낭만파에 이르러 겨우 바흐의 부활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 계기로서 중요한 구실을 한 것이 포르켈이 저술한 최초의 <바흐전(1802)>과 멘델스존에 의한 <마태수난곡>의 부활연주(1829)였다.
포르켈은 독일 음악의 영웅으로서의 바흐를 강조했으며, 멘델스존은 바흐의 종교성에 대해 사람들을 눈뜨게 했다. 1850 년에 <바흐협회>가 창립되고 이듬해부터 1899년까지 46권의 <바흐전집>이 간행되었다. 19 세기 후반에 들어서자 바흐에 대한 관심이 현저하게 높아져 시피터가 그의 <바흐전(1873)>으로 바흐 연구에 금자탑을 세웠다.
20 세기가 되자 우선 1900년에 <신바흐협회>가 설립되고 1904년부터는 <바흐연감>를 발행하여 바흐 연구의 중심이 되는 동시에 악보의 출판이나 연주를 통해 바흐음악의 보급에 힘을 기울였다.
슈바이쩌박사, 피로-Andre Pirro(1869~1943), 세링 등이 20세기 초엽에 바흐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으며, 제2차 세계대전후 바흐 연구는 새로운 시대를 맞게 된다.
1954 년부터 <신바흐전집>의 간행이 시작되고, 그와 동시에 기본적인 자료의 재검토가 실시된 결과 많은 새로운 사실들이 밝혀졌으며 바흐 연구는 현재도 여전히 활발하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