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중첩증 케이스입니다.
교수님께 칭찬받은 a+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간호 사례 연구
1. 간호사정
2. 임상검사
3. 기타 진단적 검사
4. 투약
Ⅱ. 간호 진단
Ⅲ. 간호 계획
Ⅳ. 간호수행 및 평가
Ⅴ. 발달 및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대상자의 성장발달
2. 문헌고찰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 해부학적 위치
■ 소장 Small Intestine
① 정의 및 위치
위의 유문에서 시작하여 회맹판막에 이르는 음식의 소화와 관련된 기관으로 복강 가운데의 아랫부분에 위치한다. 소장의 실제 길이는 대장의 3배이지만, 큰창자보다 굵기가 작아 소장이라고 지칭한다. 소장은 장간막에 매달려 뱃속에서 구불구불 포개져 있다.
② 기능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구성되며, 위의 유문부에서 시작하여 공장과 연결된다. 십이지장 점막은 유미즙과 소화효소로부터 십이지장 벽을 보호하기 위해 호르몬과 점액을 분비한다. 장액을 분비하고 위에서 온 미즙과 담즙, 췌장액이 혼합된다. 또한 음식물의 소화를 완성하고, 주로 공장에서 흡수된다. 소장액은 십이지장에서 분비되며 약 알칼리성을 나타낸다.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소장운동을 억제하고 통증을 전달하거나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장의 긴장력과 운동성을 증가시킨다.
■ 대장 Large Intestine
① 정의 및 위치
식물성 섬유의 소화와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을 만드는 곳으로 소장부터 항문까지를 말하며 복강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명장, 결장, 직장으로 나뉜다. 장기로 작은창자부터 항문관까지를 말하며 복강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화기계 장기이다.
② 기능
식물성 섬유의 소화와 확산에 의해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을 만들어 배출을 완료한다. 또한 요소 전해질을 흡수 하고 Vit.B군과 K를 합성한다. 점액을 분비하여 대장벽을 보호하고 대변을 응집한다. 대장의 수축작용인 팽기현상에 의해 유미즙이 장벽에 접촉하고 흡수된다.
1) 정의
장의 일부분이 탈출해서 다른 장기 안으로 들어가거나 포개어 넣어질 때 장중첩증(창자겹침증, intussusception)이 발생한다. 영아기 동안 일어나는 장폐색이 가장 많은 원인 중 하나이며, 2,000명의 영아와 아동 중 1명이 발생하고, 약 65%가 1세 미만의 아동에게 일어난다.
참고 자료
김영혜 외(2021),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538-550p
김영혜 외(2022),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27-228p
정명자 외(2008), 소아와 성인의 소장형 장중첩증의 비교 및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의 영상의학적 소견, 대한영상의학회지, 59, 21-27p
김재건 외(2002), 소아 장중첩증에서 바륨관장법과 공기 주입 정복술의 비교 분석, 방사선사협회지, Vol. 28, No.1, 59-54p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장중첩증, 소장, 대장」, www.amc.seoul.kr (문헌고찰, 그림)
손일태 외(2010), 공기 정복술을 시행 받은 소아 장중첩증 환자들의 치료 결과 및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외과, Vol 16, No 2, 108-116p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38~41p, 176~180p, 256~261p
약학정보원 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