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치_한국의 이익집단정치
- 최초 등록일
- 2024.03.13
- 최종 저작일
- 2018.0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이익집단 개괄
Ⅱ. 한국 이익집단정치의 발전
Ⅲ. 이익집단과 의회, 정당, 선거의 관계
Ⅳ. 한국 주요 이익집단
Ⅴ. 결론
본문내용
Ⅰ. 이익집단 개괄
ⅰ. 다원주의
◇ 벤트리 Arthur Bentley : 기술발전과 사회진화에 따라 추구하는 이익과 가치에 있어서 대립하는 집단들이 다투어 등장.
◇ 트루먼 David Truman : 집단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갈등과 갈등회복을 통한 체계의 안정성과 균형이 복구됨.
⇨ 다원주의적 관점에서, 정치는 자유롭게 조직화된 다수의 이익집단들 사이의 경쟁. 국가는 이익집단들 사이의 경쟁을 위한 하나의 장. 정부 정책은 사회적 다양성을 반영하는 다양한 정책결정들의 전반적인 과정 묘사하는 것.
⇨ 단일한 엘리트 집단이 정부를 총체적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상이한 이익집단들이 정책결정의 분화된 영역에서 분산된 주도권을 행사함으로써 서로 견제 및 균형을 이룸.
ⅱ. 이익집단 개념
① 좁은 개념 : 경제적 이익을 목적 유사한 직업을 기초한 경제적 이익집단.
② 넓은 개념 : 제도적 이익집단이라하여 정당, 정부부처 등까지 모두 이익집단에 포함시킴.
③ 특징 : 지속성 / 상호작용 / 고유한 이익 / 요구의 표명 / 정치성 혹 사회성
④ 유사개념과 비교
◇ 시민단체와 이익집단 : 부문집단은 이익집단영역에만, 친목성격의 시민단체는 시민단체에만 귀속되는 경우도 있으나, 공유지점을 갖기도 함.
◇ 정당과 이익집단 : 보통 정치권력획득 목적 여부로 구분됨.
ⅲ. 이익집단 유형
① 보호적 집단 : 물질적 이익표출과 목적달성 위한 제재수단 가짐.
관련정부부처들과의 관계에서 내부자 지위 추구.
특히 직업적 이익 대표하는 집단이 영향력이 큰 편.
Ex) 노동자단체, 소비자집단, 전문가단체, 사용자단체 등
② 촉진적 집단 : 사상 정체성 정책 가치 등을 옹호하는 단체 성숙한 민주주의 국가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짐.
Ex) 친환경단체, 동물애호가협회, 친낙태 혹은 반낙태 집단 등
참고 자료
김영래. 1997. 『이익집단정치와 이익갈등』서울 : 한울.
김웅진 외. 2001. 『인간과 정치』서울: 명지사.
김성수. 2015. 『새로운 패러다임의 비교정치』서울: 글로벌콘텐츠.
도묘연. 2015. 『한국 이익집단정치의 제도화』고려대학교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최장집. 1997.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나남출판.
이정희. 2010. 『이익집단정치:갈등과 통합의 역동성』. 서울:인간사랑
〃 . 1994. “이익집단 구성원의 정치의식과 정치행태.”『한국정치학회보』 27집 2-1호, 245-260.
〃 . 2000. “한국 이익집단정치와 의회:15대 국회를 중심으로.”『의정연구』9, 25-47.
〃 . 2002. “한국 이익집단과 정당의 상호 연계구조.”『21세기정치학회보』12(2), 13-35.
장달중. 1987. “한국정치와 이익집단.”『한국정치연구』1집 16호, 285-302.
정형근. 2009. “변호사의 직업윤리에 대한 고찰”『법조협회』58(6), 278-324.
박성은. 2010. ‘노동정책과정에서의 동종이익집단 간 갈등에 관한 연구 :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응환. 2002. “정부와 전문이익집단의 정책이해, 정치행태, 그리고 이익대변모형.”『한국정치학회회보』36(1), 113-138.
〃 . 2001. “행정학과 정치학에서 정부와 이익집단관계의 연구경향분석-한국행정학보와 한국정치학회보의 비교-.”『한국행정학보』34(4), 83-102.
한국노총 홈페이지 http://www.inochong.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