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정신보건 정책 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24.03.11
- 최종 저작일
- 2023.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자료입니다.
정신간호학 과제로 제출한 레포트입니다.
정신보건법 개정과 정신간호 현장이 지역사회로 변화하는 목적과 이에 따른 문제점 및 대응방안 등에 대해 정리되어 있습니다.
목차
1. 정신보건법 개정시기
2. 개정된 정신보건법의 주요 내용
3. 정신간호현장이 지역사회로 변화하는 목적 및 바람직한 변화의 준거
4. 정신간호현장이 지역사회로 확장됨에 따른 문제점
5. 4항에서 제시한 문제점에 대한 대응방안
6. 바람직한 변화를 위해 간호사가 강화할 역량
7. 참고문헌(논문, 신문기사 등) : 최소 3개이상
본문내용
1. 정신보건법 개정시기
1990년대 이전 정신보건법이 없던 시절에는 정신질환자가 법과 제도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에서 방치되거나 치료를 받지 못하고 인권이 침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1995년 12월 30일, 정신의료기관 및 시설 등을 제도화하고 입ㆍ퇴원 절차를 규정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정신보건법이 처음 제정되었다. 이후 수차례 부분적 개정을 거쳐 2016년에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로 전면 개정되었으며 2017년부터 개정법이 시행되고 있다.
2. 개정된 정신보건법의 주요 내용
2017년 5월 30일, 「정신보건법」에서 「정신건강복지법」으로 전면 개정되며 기존의 정신보건법의 강제입원 절차를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개선하였다. 이는 정신질환자의 인권을 더욱 두텁게 보호하고, 행정입원 및 외래치료명령 등 제도를 개선하여 사회 안전을 강화하였다.
참고 자료
의료정책 연구소_인권존중과 탈수용화를 위한 정신건강복지법 재개정 연구보고서(2018.10.)
보건복지부/정신건강복지법 바로알기
https://www.mohw.go.kr/menu.es?mid=a10706040501
신선화, 황정희.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전반적 사회기능과 정신건강 회복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치료적 관계의 매개 효과,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9;30(1):69-78
이정연. 1995년 이후 정신보건정책에서 나타난 ‘정신질환자’의 정의, 사회와역사. 2021;(132):289-331
남정자. 지역사회 정신보건 발전방향,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1996;(2):60-66
김미혜 외5인. 지역사회 정신보건간호사의 폭력경험,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12):8626-8636
전진아 외7인.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연계 현황과 개선 과제,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27):210-214
장미영, 신성희. 일반병동 간호사의 정신질환자 간호부담감,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및 정신간호역량,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7;26(1):55-66
권자영 외4인.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핵심역량에 관한 수련 교육 요구분석,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18;46(1):64-93
오은정 외2인. 정신간호사의 감성지능과 공감이 촉진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2016;25(4):283-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