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는 한글표준문서(*.hwpx)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상부 위장관 출혈(UGI bleeding) CASE 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구조와 특성
2. 병태생리
3. 원인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Ⅱ. 사례보고서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구조와 특성
십이지장(duodenum)과 공장(jejunum)의 경계 부위에 연결된 트라이츠 인대 (Treitz ligament : 십이지장과 공장을 잇는 부위를 잡아주고 있는 근육)보다 위쪽 위장관을 상부위장관이라 말한다. 즉, 식도부터 위, 십이지장까지를 말하며 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모두 일컬어 상부 위장관 출혈이라고 한다. ...
식도(esophagus)
- 정의 : 인두에서 위까지 이르는 길이 약 25cm 정도 되는 소화기관. 식도는 다른 기관에 비해 곧으며, 연동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위로 내려보내고 위, 아래에 조임근이 있어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해준다.
- 위치 : 좌측 주기관지의 뒤쪽에서 약간 왼쪽에 위치하여 있으며 제 6 경추 높이에서 인두와 연결되고 제 11뼈 흉추 높이에서 위와 연결된다.
- 구조 : 식도벽은 점막, 점막하층, 근육층, 외막으로 이루어져 있고, 식도의 1/3정도는 가로무늬근이며 아래쪽 2/3는 민무늬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
- 기능 : 식도는 인두로 들어온 음식물을 연동운동을 통해 위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
참고자료
· 서울아산병원, 인체정보, 질환백과,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 서울대학교 간 연구소, 소화기관의 기본해부학,
· https://liver.snu.ac.kr/en/board/anatomy/view/3
· 혜인의료재단 한국병원, 의학상식[상부위장관 출혈]
· http://www.hankookhospital.co.kr/knowledge_dept1/12799
· 박순옥 외, 「성인간호학」, 퍼시픽 북스, 2019.08.01., p533~541, p585~592
· 의료법인 희명병원, 요소호흡검사 안내
· https://hmhp.co.kr/new/sub/sub07-01.php?PHPSESSID=22781b5ee2cfff7f9b170d237eeb9b28
· 대한 상부 위장관, 헬리코박터학회, 환자를 위한 질병 안내서,
· https://www.hpylori.or.kr/sub06/sub04.html
· 대한 소화기학회, 위장관 출혈
· https://m.gastrokorea.org/bbs/index.php?code=health&mode=view&number=16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