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한국 60년대 비평문학
- 최초 등록일
- 2004.10.02
- 최종 저작일
- 2003.1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순수 참여의 대립 양상
1) 광장을 둘러싼 논쟁
2) 김우종 대 이형기
3) 민족문학론을 이끈『창작과 비평』
4) 다시 타오른 참여․순수 논쟁
2 비평 세대의 분화
1) 구세대 비평가
2) 전후세대 비평가
3) 4.19세대 비평가
Ⅲ. 결론
본문내용
1960년대는 그 성격이 판이하게 다른 4.19와 5.16으로 설명되어진다. 이 두 사건은 사회․경제적인 면은 물론이거니와 문학적으로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4월 혁명이 문학에 끼친 영향으로는 임헌영에 의해 대략 세가지 측면에서 파악된 바 있는데 그는 다음과 같다. 매체의 종류 상승과 독자의 증가 현상, 사조․유파의 새로운 형성과 세대교체 그리고 민중적 문학의 대두, 비평 문학의 성행이 바로 그것이다. 매체와 독자의 증가는 혁명 직후의 모든 사회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현상에 해당한다. 60년대는 질과 양의 측면에서 전대와 구분되는 뚜렷한 매체의 확대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쟁쟁한 종합지와 순문학지들이 이 시기에 창간 된 것이다.
사조 유파의 형성과 문단의 세대교체 현상은 상호 관련성 하에서 이해되어야 할 동일한 국면으로 볼 수 있다. 혁명은 무엇보다 구습으로부터의 단절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이념의 형성과 이를 담지한 신세대의 대두는 지극히 당연한 결과이다.
비평문학의 성행 또한 혁명이 야기한 가장 중요한 결과의 하나에 해당한다. 비평문학의 성행은 그것이 많은 문학형식 가운데서도 혁명 정신을 실천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일 수 있는 양식이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1960년대 참여문학론과 무관하지 않다.
5.16의 결과로 나타난 1960년대의 개발독재체제는 국가 권력의 차원에서 물리적 힘을 행사하면서 문화의 자율성과 지식인의 자유로운 담론을 통제했다. 1961년 창설된 ‘중앙정보부’와 같은 감시․통제기구는 정치인뿐만 아니라 학자, 예술가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차원에서 작동했다.
참고 자료
김윤식외,「한국 현대 문학사」, 현대문학, 2002
김윤식, 「한국 현대 문학사론」, 한샘, 1990
권영민, 「한국 현대 문학사」, 민음사, 1995
임영봉, 「한국 현대문학 비평사론」, 역락, 2000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