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론] 창세가를 통하여 본 우리의 창세신화
- 최초 등록일
- 2004.10.01
- 최종 저작일
- 2004.05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오랜 시간 들여서 열심히 만든 레폿입니다
학점도 잘 나왔고 내용도 알차요^^
돈 안 아까울껄요~~
후회없음장담!! 강추!!!!!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신화란 무엇인가?
⑴ 신화의 정의
⑵ 신화의 어원
⑶ 신화의 의의
3. 우리의 창세신화
⑴ 창세신화란 무엇인가?
⑵ 창세신화 소멸의 원인
⑶ 무가 속에 나타나는 우리의 창세신화
4. <창세가>를 통하여 본 우리의 창세신화
⑴〈창세가〉의 내용
⑵〈창세가〉의 신화소 분류와 의미
5. 맺음말
본문내용
3. 우리의 창세신화
⑴ 창세신화란 무엇인가?
창세신화의 내용은 대단히 광범위하여 크게는 우 주의 형성, 해와 달의 창조, 인류의 기원으로부터 작게는 초목과 곤충이 어떻게 생겨났는가를 모두 포괄하고 있다. 창세신 화를 통하여 자연과 우주에 대한 고대인의 철학적인 고민에서 출발하여 자연계와 자연현 상에 대한 이해를 알아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 민족의 신성관념과 세계관 및 사회규 범을 함축하고 있는 결정체인 것이다.
⑵ 창세신화 소멸의 원인
① 유교 문화
중세에 널리 위세를 떨쳤던 불교와 유교와 같은 외래문화는 우리의 민족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특히 유교와 같은 경우는 융합성이 강한 불교와는 달리 우리 고유의 독창적인 문화를 크게 왜곡, 축소시켰다. 특히 <논어> 의 "仲尼不語怪力亂神" 즉, "공자님께서는 괴이하고 힘쓰고 어지럽고 귀신에 관한 이야기는 말씀하지 않으셨 다"는 유교적인 잣대로 신화는 철저히 부정당한 것이다.
② 신의 상실
신화는 신에 대한 제전(祭典)에서 전승된다. 따라서 신에 대한 제전이 없어지면 신화 또한 전승할 터전을 잃게 되고 구연 기회를 상실하면서 사라지게 된다. 우리 나라의 창세신화도 창세신에 대한 숭앙이 퇴조하면서 굿거리에서 창세신의 대한 제차(祭次가) 점점 사라지게 되어 창세신화의 전승력이 점차 상실된 것으로 보인다.
③ 〈단군신화〉의 숭앙
〈단군신화〉의 의의는 조선 후기에 민족적 역량이 결집되고 민중의 저력이 합쳐진 움 직임에서부터 시작되었다. '5000년 반만년 역사의 유구함'을 내세워 무장항일투쟁을 전개한 북로군정서는 〈단군신화〉를 통하여 민족을 집결시키는데 이르렀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이 내세운 단군숭앙은 민족적 자부심과는 무관하게 일제시대에 버릇된 식 민사고로부터 단군을 내세워 조상이 섬기는 신앙을 제공하고, 일제시대 교과서에서 천황을 숭배하기 위해 천조대어신(天照大御神)을 배우도록 했던 의도와 마찬가지로 단군숭앙을 대신해 정권유지의 용도로 사용한 것이다.
참고 자료
김태곤, 『한국의 무속신화』, 집문당, 1985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 길벗, 1994
서대석, 『한국의 신화』, 집문당, 1997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1
소재영 외, 『한국의 민속문학과 예술』, 집문당, 1998
이경업, 『무가문학연구』, 박이정, 1998
이인택, 『중국신화의 세계』, 풀빛, 2000
原珂, 『중국신화전설』, 민음사,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