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적 진단명 Fracture of bimalleolar, closed(양과 골절, 폐쇄)
정의 발목관절(족관절, Ankle)은 경골(Tibia), 비골(Fibula), 거골(Talus) 3개의 뼈가 만나서 이루는 관절임. 발목 부위에서 경골과 비골에 발생하는 골절을 주로 발목 골절이라 부르는데, 흔히 복사뼈(복숭아뼈)에서 골절이 발생함. 발목 내측의 복사뼈는 내과(Medial malleolus)라고 하며, 외측의 복사뼈는 외과(Lateral malleolus)라고 함. 내과, 외과 둘다 부러지면 양과 골절이라고 부름.
병태생리
전면에 근육이 부족한 경골은 손상에 취약함. 주로 발목이 심하게 꺾이면서 발생하며, 통증, 부종, 멍이 생길 수 있음.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구획증후군, 지방색전증후군, 골유합지연, 불유합, 개방골절과 관련된 감염 가능성 등이 있음.
치료
진단검사
주로 임상소견과 단순방사선 검사(X-ray)를 이용하여 진단함. 단순방사선 검사(X-ray)를 시행하여 전후면, 측면, 격자 영상을 기본적으로 확인한다. 골절 상태 및 미세 골절을 파악하기 위해 CT 촬영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인대 등의 동반 손상을 파악하기 위해 MRI 촬영을 할 때도 있음.
약물
발목 골절의 경우에는 인접 뼈와 관절을 이루고 있는 관절면이 손상된 경우가 많기에, 정확한 정복(Reduction)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추후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음. 수술 후 에 항생제, 진통제 등의 약물을 투여함.
수술,
처치 등
주로 피부절개 후 골절을 정복한 뒤 금속물을 이용하여 고정함. 폐쇄성 발목 골절은 장 하지 석고로 고정한 후 폐쇄 정복을 함. 골수강 내막대, 고정판으로 개방정복과 내부고정을 하고, 복합골절과 광범위한 연 조직 손상 시에는 외부 고정을 함.
간호
첫 48시간 동안 손상된 사지의 신경혈관 상태를 2시간마다 사정함. 목발 보행 시 필요한 근력을 위해 손상되지 않은 다리와 모든 상지의 능동적 ROM 운동을 함. 환자가 보행할 준비가 됐다고 판단되면, 물리 치료사는 목발 보행의 원리를 교육해야 함. 치유 정도에 따라 6~12주 침상 안정을 취해야 할 수도 있음.
참고자료
· 김옥수 외(2021).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p1513.
· [네이버 지식백과] 발목골절 [Ankle fractur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225977&cid=51007&categoryId=51007
· 김정애 외(2018).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수문사. p39-61.
· 김정애 외(2018).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수문사. p225-228.
· Morse, J. M.(1986). Computerized Evaluation of a Scale to Identify the Fall-prone Patient.
·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77, 21-2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 https://www.health.kr/main.asp(약학정보원)
· 이동숙 외(2019).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포널스. p245-250, p351-35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