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척수손상환자간호
- 최초 등록일
- 2004.09.24
- 최종 저작일
- 2004.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척수손상에 대한 간호중재를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간호내용보다는 척수손상을 입은 데에 대한 재활 및 가정간호가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작성하였구요, 교수님께도 좋은 평가를 받은 보고서 입니다. ^^
목차
서론
본론
1. 척수손상
1) 완전 척수 손상
2) 불완전 척수 손상
(1) 후방 척수 증후군(Posterior Cord Syndrome)
(2) 중앙 척수 증후군(Central Cord Syndrome)
(3) 전방 척수 증후군(Anterior Cord Syndrome)
(4) Brown-Sequard Syndrome
(5) Cauda equina
2. 척수손상의 임상적 의의
3. 치료
1) 척수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의 관리
2) 즉각적인 응급처치
3) 약물 치료
4. 척수 손상을 입은 환자의 문제
5. 합병증
6. 재활기 간호
결론
본문내용
척수손상은 주로 외상에 의해 많이 발생하며 사고 이후 개인의 독립적인 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그 주변과 사회 전반적인 측면에서 장기간의 복합적인 문제들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재활과 관련해서 그간의 척수손상에 대한 이해는 대부분 척수의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감각 및 운동기능 소실, 이차적인 합병증, 그리고 실제 환자에게 적용되는 재활접근방법이 주된 내용이었다. 모든 치료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것이 정확한 진단과 평가가 된다.
척수손상은 부상후 초기의 부적절한 치료로 인한 이차적인 신경손상이 예후를 악화키는 가장 큰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초기의 불완전 손상상태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과 함께 이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필수적이다.
척수손상 환자에게서 보이는 외재적인 요인들의 평가뿐만이 아니라 신경계 내에서의 세포차원에서의 변화들까지도 이해해야할 것이다. 척수손상이후의 신경병리적 변화들을 이해하고 치료를 통해 나타나는 효과의 측면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것 역시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일이다. 차후 이와 같은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물리치료나 그외 재활치료에 접목하는 작업이 반드시 협력적인 작업으로써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의 서두>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근골격.신경.감각기계. 고금자외 공저. 정담.
외상간호. 황정연외 공저. 현문사. 2001.
성인간호학. 서문자외 공저. 수문사. 1996.
뇌졸중과 척수손상 환자의 가정간호요구. 소희영, 송애랑. 충남대간호학술지. 2000.
척수 손상환자의 임상분석. 김관태. 충남의대잡지 제20권 제2호. 1993.
척수손상 환자의 합병증. 김봉옥, 박상균, 남명호, 윤승호. 충남의대잡지 제17권 제2호. 1990.
서울지역 외상성 척수손상환자의 발생률. 정낙수, 정치경, 이원철.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6권 제2호. 1999.
척수손상 환자의 자세 변화 후 시간경과와 복대사용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재호, 박창일, 전중선.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4권 제3호.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