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논의 시 적용될 수 있는 이론 정리
1) 선의의 간섭의 사례
2) 정신 병원에서의 강제적 감금
3) 칸트의 윤리설 (의무론)
4. 사례에 대한 개인적 입장표명
5. 의무론을 따르게 된 이유
본문내용
첫째, 준칙에 따르는 행위로서 칸트는 어떤 행동을 하게 될 때 그 행위를 하게 될 의도를 준칙이라고 했다. 준칙은 정언적일 수도 있고 가언적일 수도 있다. 칸트는 준칙을 정언적이라고 보았다. 준칙이란 감정도 될 수 있고 의무도 될 수 있다. 우리 마음에서 ‘~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그것이다. 감정은 불쌍하니까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이고, 의무는 불쌍한 사람을 보면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인 명령이다. 칸트는 합리적인 인간이라면 우리는 의무를 가진다고 믿었다. 이때 의무는 정언적이다. 의무를 가지기 때문에 도덕적 인간이 될 수 있다. 정언적이란 ‘~해야 한다’는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인 것이다. 칸트가 말하는 의무는 어느 때는 지키고 어느 때는 지키지 않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인 것이다. 셋째, 준칙은 보편화 가능해야 한다. 우리는 모든 사람에게 적용 될 수 있는 그런 준칙에 따라서 행동해야 한다.
참고자료
· ① http://www.podaetour.com/info/JN_sorokdo.htm
· ②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1111&docid=232567
· ③ http://philwk.hihome.com/ImportedFiles/PC_contents/b003_51521_000528.html
· ④ 학술논문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onsequentialist Approach to the Human Life>
· ⑤ 생명의료 윤리학 (김상득)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