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니지먼트 및 음반산업 분석] 국내매니지먼트및음반산업현황
- 최초 등록일
- 2004.09.20
- 최종 저작일
- 2004.05
- 15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500원
소개글
국내 매니지먼트 및 음반산업에 대한 Term Project PT자료입니다. 각종 도표 및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어있으며 관련산업에 대한 자료 미비로 인하여 직접 현장 인터뷰 및 관련 산업에 대한 자료 확보에 많은 기간이 들었음을 알려드립니다.
목차
1.Management Industry Analysis
(1) 매니지먼트 산업 시스템 및 현황
- 매니지먼트 산업 시스템
- 매니지먼트 산업의 타 엔터테인먼트 산업 연계
- 소속 연예인 관리 시스템
- 매니지먼트사의 수익 구조 및 계약 특성
(2) 국내 주요 매니지먼트사 분석
- 싸이더스 HQ
- GM MUSIC
- 아이스타 엔터테인먼트
2.Music Industry Analysis
(1) 국내음반산업 & 사례
- 국내음반산업의 현황
- 국내음반산업의 추이
- 국내 음반산업 사례 : SM 엔터테인먼트
(2) 2차 음원산업 & 사례
- 2차 음원산업 현황
- 무선, 유선 디지털 음원 산업 현황
- 2차 음원산업 해외 사례 : iTunes, 냅스터, 뮤직나우등
- 2차 음원산업 국내 사례 : 소리바다, 벅스뮤직, 모바일 업체, MP3플레이어업체, 텔레콤 업체 등
본문내용
(4) 매니지먼트사의 수익구조 및 계약 특성
A. 6:4, 7:3, 8:2, 10:0
- 소속 연예인들의 주요 수익원은 CF 등의 광고로부터 발생
- CF 수익금의 비율은 연예인들의 등급에 따라 달라지며 최대 10:0의 계약이 이루어지기도 함.
- Super A 급의 확보를 통한 신인 연예인들의 수익을 찾는 경향.
B. 일반적 계약 관행
- 가수 : 신인의 경우 계약금 100~2000만원에 장당 인세는 100~200원 책정. CF 5:5, 4:6 이며 방송출연료는 6:4, 7:3이 일반적 관행. 이와 같은 불공정 계약으로 인하여성공이후 계약 파기 가능성 존재(5000만원의 법칙)
- 연기자 : 일반적으로 출연료는 연기자에게 많이 배분하며 (7:3, 8:2) CF의 경우 5:5, 6:4로 수익을 추구(가수에 비해 해당사의 투자금 규모가 적음)
C. 추가 수익 창출 노력
- 소속사의 입장에서는 연기자를 활용한 부가 사업 및 초상권과 관련된 사업의 경우 많은 이익 배분 계약을 하며(2:8 등) 이로 인하여 신규 사업 창출 노력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