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홍위병은 어떤 존재인가?
(2) 문화 대혁명과 홍위병
(3) 홍위병에 대한 평가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중국인들은 문화대혁명의 10년을 ‘10년 동란’이라고 부르거나 ‘잃어버린 10년’ 혹은 ‘10년의 재앙’이라고 기억한다. 여기서 말하는 문화대혁명은 1966년부터 1976년까지 중국 사회에서의 대혼란을 의미하는데, 이 문화대혁명은 단순히 문화에만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라 사회, 경제, 교육에까지 그 영향을 미친 바 있다. 이 문화대혁명 시기에 마오쩌둥을 비호하면서 그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활약한 학생집단인 홍위병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해 필자의 평가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2. 본론
(1) 홍위병은 어떤 존재인가?
홍위병은 1966년 설립되어 규모로는 약 1300만 명의 학생 전위대이다. 홍위병이라고 하는 이름은 1927년에 마오가 조직했던 부대에서 따 왔다. 이들은 1966년부터 1967년까지 1년 동안 ‘구시대로부터의 해방’을 명분으로 하여 기존 체제를 전복하고, 폭력을 행사하는 등의 극단적인 행동을 전개하다가 해산되었다. 이들은 마오쩌둥이 1950년대 말 전개된 대약진 운동이 실패하면서 류사오치나 덩샤오핑을 비롯한 수정론자들의 대대적인 공세를 받기 시작하면서, 그가 구상한 4구舊 타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기존의 낡은 요소를 쓸어버리고 체제와 권위에 대항하라’라는 마오쩌둥의 메시지에 학생을 중심으로 폭발적인 반응이 전개되었다.
참고자료
· 이경자. (2015). 문화대혁명시기의 대학생 문화. 한국교육사학, 37(1), 59-60.
·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홍위병. 2023.10.19.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46663&cid=43124&categoryId=43124
· 王年一, “文革”漫談(中) (中國新聞電腦網絡(CND) 主辦, 華夏文摘 增刊 第八一期, 2004年6月7日); 唐少傑, 毛澤東與清華大學“文化大革命” (中國新聞電腦網絡(CND) 主辦, 華夏文摘 增刊 第五四一期, 2006年12月4日)
· 김기효. (2011). 홍위병조직(紅衛兵組織)의 태동(胎動)에 있어서 모택동(毛澤東)의 영향(影響). 중국사연구, 72(0), 179-207.
· 안지영. (2012). 중국 중고등 역사교과서에서 공자의 부활. 인문학연구, 89(0), 405-438.
· 김기효. (2015). 5·4운동(運動) 시기(時期)와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 시기(時期) 유교(儒敎) 비판(批判). 중국사연구, 96(0), 209-240.
· 이경자. (2015). 문화대혁명시기의 대학생 문화. 한국교육사학, 37(1), 59-80.
· 김원열. (2003). 민중의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대혁명 평등 지향의 민중 혁명을 중심으로. 시대와 철학, 14(2), 455-47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