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기관지폐이형성증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대상자의 질병명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예후
7) 치료
8) 간호
9) 예방
2.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3. 내원동기 및 주호소
4. 현병력
5. 일상생활력
6. 간호진단 1) 비효율적 호흡양상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7. 간호진단 2) 빨기 능력 미숙과 관련된 영양부족
본문내용
기관지폐 이형성증(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1) 정의
미숙아 만성 폐질환이라고도 한다.
기관지폐 이형성증은 출생 직후 호흡곤란으로 인해 인공호흡기나 산소 공급을 받았던 신생아의 폐가 손상되어, 생후 28일 또는 재태주령 36주가 지나도 산소 공급이 필요한 상태를 의미한다. 극소 저체중 출생아 등에서 산소 투여기간이 비교적 긴 점 등을 고려하여 월경 후 주령 36주 또는 퇴원 시기에 환아의 상태를 보아 경증, 중증도, 중증으로 나누어서 분류한다.
대부분 미숙아에게서 발생하며, 발생 빈도는 출생 체중 및 재태주령과 반비례한다. 또한 보고에 따라 다르지만 출생 체중 1500g 미만 신생아의 경우 이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약 10~30% 정도라고 한다.
2) 원인
기관지폐 이형성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된다.
34주 미만에 출생하거나 출생 시 체중이 2kg 이하인 신생아의 폐는 취약하여 쉽게 손상을 받는다. 이러한 신생아는 폐 조직이 발달하지 못하고 호흡 부전이 나타나 생존을 위해 산소 공급이나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는 폐의 손상을 유발하고 폐포 허탈로 진행된다. 그 결과 불충분한 호기말 양압에 의해 발생하는 무기폐, 기계환기로 인한 폐용적 증가, 국소적인 과패창들이 폐손상을 촉진시켜 더 많은 산소나 인공호흡기의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그 외에 기관지폐 형성이상의 위험 요인으로는 계면활성제의 부족으로 오는 호흡 부전, 과대 수액 투여, 동맥관 개존에 의한 폐부종, 공기 누출, 무기폐, 폐 미성숙, 폐 감염, 비타민 A의 부족, 유전적 요인, 산소 유리기의 독성, 남아, 선천성 감염, 천식의 가족력 등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자궁 내 감염증이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었다.
3) 병태생리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발병은 미숙아에게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기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퇴원 후에도 여러 가지 합병증..
<중 략>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89, 2023.03.25.MSD 매뉴얼 일반인용,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A%B8%B0%EB%B3%B8-%EC%A0%95%EB%B3%B4-%EC%95%84%EB%8F%99%EC%9D%98-%EA%B1%B4%EA%B0%95-%EB%AC%B8%EC%A0%9C/%EC%8B%A0%EC%83%9D%EC%95%84%EC%9D%98-%ED%8F%90-%EB%B0%8F-%ED%98%B8%ED%9D%A1-%EB%AC%B8%EC%A0%9C/%EA%B8%B0%EA%B4%80%EC%A7%80%ED%8F%90-%ED%98%95%EC%84%B1%EC%9D%B4%EC%83%81-bpd, 2023.03.25.
김영혜 외 공저,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022, p.223-224, p.466
최창원 and 김병일. (2013). 기관지폐이형성증의 역학, 임상양상 및 병태생리. Neonatal medicine, 20(3), 281-289.
MSD 매뉴얼 프로페셔널 버전, https://www.msdmanuals.com/professional/pediatrics/respiratory-problems-in-neonates/bronchopulmonary-dysplasia-bpd, 2023.03.25.
이진철, 고광민, 변정혜, 유영, 손창성, 정지태, 함수연 and 채양석. (2008). 새로운 기관지폐 이형성증 부검 1례.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s, 18(1), 91-96.
조결자 외 공저, 「손쉽고 편리한 아동간호진단」, 현문사, 2000, p.28-96
이희정. (2002). 소아 다순 흉부 X-선 사진의 판독 – 정상 및 폐렴 소견을 중심으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제 45 권 제 11 호.
최창원. (2009). 기관지폐이형성증의 예방과 치료. Hanyang Medical Reviews,29권, 4호.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23, 2023.03.31.
김정숙 외 공저, 「간호와 영양」, 수문사, 2022, p.158-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