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1 - Op Amp를 이용한 다양한 Amplifier 설계
2024년, 4학년에 재학 중인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학생입니다. 누구보다 학업에 진지하게 임하였기 때문에, 제 자료에 자부심이 있습니다. 현재 학점은 4.3XX이며, 저의 모든 자료에 대해 증빙할 수 있습니다.
전자회로설계실습 과목은 제가 저희 분반에서 유일하게 레포트 점수 만점을 획득하였습니다. 누구보다 시간을 많이 투자하여 정성스레 작성하였으니, 제 자료를 참고하여 좋은 결과 얻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023년 진행중인 실습책에 맞춰서 제작된 보고서입니다. 2022년부터 책이 약간 바뀌었기 때문에, 비대면 시절이 아닌 대면 시절의 보고서 입니다.
## 중요내용 및 주의사항의 경우 항상 형광펜 및 빨간 글씨로 표시해놓아, 편집하기 매우 쉽습니다. 또한, PDF 파일이 아닌 Word 파일로 올려서 여러분들의 마음에 들게 자체 수정하여 사용하시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2024년, 4학년에 재학 중인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학생입니다. 누구보다 학업에 진지하게 임하였기 때문에, 제 자료에 자부심이 있습니다. 현재 학점은 4.3XX이며, 저의 모든 자료에 대해 증빙할 수 있습니다.
전자회로설계실습 과목은 제가 저희 분반에서 유일하게 레포트 점수 만점을 획득하였습니다. 누구보다 시간을 많이 투자하여 정성스레 작성하였으니, 제 자료를 참고하여 좋은 결과 얻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023년 진행중인 실습책에 맞춰서 제작된 보고서입니다. 2022년부터 책이 약간 바뀌었기 때문에, 비대면 시절이 아닌 대면 시절의 보고서 입니다.
## 중요내용 및 주의사항의 경우 항상 형광펜 및 빨간 글씨로 표시해놓아, 편집하기 매우 쉽습니다. 또한, PDF 파일이 아닌 Word 파일로 올려서 여러분들의 마음에 들게 자체 수정하여 사용하시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목차
1. 설계실습 내용 및 분석
2. 결론
본문내용
4. 설계실습 내용 및 분석
$ 4.1 센서의 구현
(A) 3.1의 (B)에서 구한 값으로 function generator를 설정하고 다음 그림 (A)와 같이 연결하여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한 파형이 200mVpp, 2kHz인 정현파임을 확인하고 그 파형을 제출한다.
(B) 다음 그림(B)와 같이 연결하여 측정한 파형이 100mVpp, 2kHz 인 정현파임을 확인하고 그 파형을 제출한다. 결과가 예상과 다를 경우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을 조절하여 200mV, 100mV가 나오도록 하라. 왜 이렇게 되는지 그 이유를 서술하라.
Ch1은 그림 (B)에서 Load 역할을 하는 10kΩ에 걸리는 전압값을 나타낸다. 저항이 10kΩ으로 직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1 : 1의 비율로 나뉘기 때문에, 100mV가 걸리게 된다.
Ch2는 Function generator의 파형을 나타내기 때문에, 크기는 여전히 200mV로 유지된다. 또한, 저항성분만 존재하기 때문에 위상차는 발생하지 않는다.
$ 4.2 Inverting Amplifier의 동작 (DC power supply의 전압을 ±15V로 설정한다.)
(A) 10kΩ 저항과 R1이 연결된 곳의 전압(증폭기 입력)파형과 출력파형이 오실로스코프에 동시에 보이는 화면과 simulation 결과를 함께 제출하라. (coupling을 dc, Ch.2에 출력). 필요한 경우 가변저항을 사용하되 5% 표준저항에 맞추어서 사용한다. 출력전압이 몇 V인가? 설계목표, PSPICE결과, 측정결과 사이의 오차와 그 원인을 기술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