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운동] 장애인 이동권 운동을 통해 본 사회운동
- 최초 등록일
- 2004.09.13
- 최종 저작일
- 2003.12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이라는 사회학과 전공수업 팀과제로 제출한 것입니다
정말 열씸히 썼구요 장애인 이동권 연대의 노들장애인야간학교 김기룡 사무국장님과 직접인터뷰를 하고 장애인자립생활 네트워크에 계시는 분과는 이메일로 서면인터뷰를 했습니다.
4학년전공 수업이라 꽤 심도있게 다뤄졌구요
점수는 진짜 왕 대박이었습니다!!
보시면 아실꺼에요~~*^^*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 사회운동 전반에 대한 통찰
1.2. 연구대상의 소개와 선정 계기
1.3. 문제의식 - 운동 주체의 문제
본문내용
1. 서 론
1.1 연구배경: 사회운동 전반에 대한 통찰
사회 운동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사회운동은 정의(正義)의 이름으로 저항하는 데서 출발한다. 이념적 지향에 따라, 각자가 서 있는 사회적 위치에 따라, 주체들이 처해 있는 역사적 상황에 따라 사회운동은 나름의 대의를 띠고 폭발한다. 그리고 그 대의가 모두 정당성을 지니고 있음을 증명하려고 하는 것과 동시에 더 나아가 개인적으로 또는 집단적으로 품고 있는 대의가 반영되길 바란다. 대의의 반영은 곧 영향력의 행사를 의미할 것이다. 영향력은 정치적인 성향을 띠기도 하며 때로는 작은 수준의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는 데서 만족하기도 한다. 그들의 목소리, 그리고 그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천차만별로 다를지라도 그들이 꿈꾸는 것은 나름의 발전적인 미래라는 점만은 공유하는 점이라고 볼 수 있다.
여러 가지 이슈들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일련의 사회운동들이 사회에서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구체적으로 이러한 사회운동이 한국 사회에서 가지는 의미는 무엇일까. 또한 이러한 의미는 한국 사회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인가.
사회운동이 반드시 저항의식에서 생긴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대부분 사회운동이 기존의 흐름과는 다른 흐름을 만들어내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시작하는 것을 보면 어느 정도 저항의 분위기를 띠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또한 운동에는 사람이 필요하고, 논리가 필요하며, 돈이 필요하고 자신감이 필요하다. 어느 한 가지라도 부족하면 운동은 삐걱거리기 쉽고 발전적인 미래도 어렵다. 사회운동을 말하고 분석하는 데 있어 이러한 요소들을 짚고 넘어가지 않고서는 사회운동에 대해 이야기할 수 없다고 하겠다.
참고 자료
- 장애인 이동권 연대 http://access.jinbo.net
- 통계청 사이트 http://www.nso.go.kr
- 한국자립생활네트워크 http://www.knil.org
- 저항, 연대, 기억의 정치- 한국사회운동의 흐름과 지형, 김진균 편저, 문화과학사, 2003
- 새로운 사회운동의 이론과 현실, 박형신 조대엽 김종길 문형욱 지음, 문형, 2000
- 장애인이동권투쟁의 운동적․정치적 의미, 그리고 우리의 과제, 김도현(노들장애인야간학 교 사무국장)
- 2001년 장애인 이동권 투쟁평가, 김태현(한국뇌성마비장애인연합‘롬’대회협력간사)
-이동권투쟁의 투쟁방법에 대한 작은 소망이 있네~ 박미금(전국에바다대학생연대회의 정책 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