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실험] 염색법과 현미경을 이용한 미생물 관찰
- 최초 등록일
- 2004.09.06
- 최종 저작일
- 2004.03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Title : 염색법과 현미경을 이용한 미생물 관찰
Date :
Name :
Purpose : 세균학에서 많이 다루는 그람염색법을 이용하여 세균을 관찰하고, 현미경 다루는 법도 익힌다.
Materials : Nacl, 세균 (E-coil ATCC, BHI s,aureus), crystal violet, iodine, 탈색제(에틸알콜:아세틸=1:1), Sofranin O, immersion oil,
Instruments : 현미경, 슬라이드글라스알코올 램프, 혈청분류관
Method :
Resuld
Discussion :
실험 방법상 주의할점
그람 염색법 (Gram Stain)
Reference :
Pre-report : 멸균의 방법 및 원리
본문내용
그람 염색법 (Gram Stain)
그람염색은 세균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염색법이다.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을 구별하는 염색이기 때문에 Differential stain 이라고도 한다. 1884년 C. Gram 에 의해 처음 창안된 염색법으로 두 가지의 세균으로 분류된다. 이후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Hucker 의 방법과 Burke의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는 전자를 위주로 설명하였다. 그람 염색 결과 자주색으로 염색되는 세균은 그람양성이며 분홍색으로 염색되는 세균은 그람 음성이다. 양성과 음성은 전기적 성질과는 무관하며 단순히 형태학적 차이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그람양성균과 음성균이 서로 다르게 염색되는 것은 근본적으로 세포벽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세균의 세포벽은 크기와 형태를 유지하게 하며 또한 삼투압에 의한 세포 파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세포벽에는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 이라고 하는 물질이 있기 때문에 아주 단단하다. 그람양성균의 세포벽은 여러 층의 펩티도글리칸층이 두껍게 감싸고 있는데 세포벽의 약 80-90%가 펩티도글리칸이다.
참고 자료
www.naver.com 대백과 사전
http://sampgon.hihome.com/g.html
http://user.chollian.net/~dkmb/microlab.html
김용호외 1명 / 소독과 멸균학 / 고려의학 / 1995 / p.11∼20, 133∼187, 227∼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