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까지 전세계의 인플레이션 원인은 크게 코로나 19 팬데믹, 그리고 우크라-러시아 전쟁의 여파이다. 국민들 사이에서 이대로 가면 다 죽는다는 말이 떠돌 정도이다.
2022년도 3월 기준 미국 소비자 물가가 전년 동기 대비 8.5% 상승하였고 5월에는 8.6%퍼센트를 기록하며 인플레이션의 정점이 언제일지 모른다는 불안이 생성되었다. 우리나라 또한 5%대의 물가상승률이 이어졌다.
통계청에서 2022년 7월 5일에 발표한 6월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도와 비교해 6% 상승했고, 이는 외환위기였던 98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다. 우리나라에 비해 다른 나라는 더욱 심각한 수준인데, 미국과 독일의 5월 물가상승률은 각각 8.6%와 7.9%를 기록해 미국은 41년, 독일은 49년만에 최고 수치를 경신하였다.
참고자료
· 정용택, “글로벌 인플레이션, 팬데믹 대응 과정서 발생한 복합적 현상”, 경제정보센터,2022.07,
· https://eiec.kdi.re.kr/publish/naraView.do?fcode=000*************0001&cidx=13875&sel_year=2022&sel_month=07&pp=20&pg=1
· 신현호, “전세계 24살 이하는 처음 겪는 세계사적 사건,2022” , 한겨레21. 2022.07.12.
· 유튜브 채널 BNK 금융그룹, “40년만의 최대 인플레이션, 물가를 못 잡으면 어떻게 될까?”,2023.03,https://www.youtube.com/watch?v=-4pCS3ts9sQ
· 장지현, “美 기준금리 0.5%p 인상…‘자이언트 스텝→빅스텝’으로 숨 고르기” , 시사저널, 2022.12.15
· 박영신, “[커버스토리] 고물가시대 처방 ①부가가치세 인하 "부가세 2% 일괄인하하면 물가 안정 등 1석3조 효과", 시사경제신문, 2022.08.0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