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울혈성 심부전의 정의원인병태생리 증상 등..
2. 케이스 스터디 검사결과
3. 케이스 스터디 약물
4.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6개
본문내용
◈ 울혈성 심부전
⑴정의: 조직의 대사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충분한 혈액을 심장이 박출하지 못하는 상태
⑵원인: 신체적 혹은 정신적 스트레스, 심부정맥, infection, anemia, 갑상샘질환, 임신,
paget병, 영양결핍, 폐질환, 과혈량 등
⑶ 병태생리
① Preload의 과도증가
② 심근수축력의 감소
③ afterload의 과도부담
⑶ 임상증상
* 좌심부전
① 혈액이 폐정맥과 모세혈관으로 역류하여 폐울혈이 초래된다.
- 숨이 가쁨, 운동 시 호흡곤란,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 기좌호흡, 폐부종
- 기침 : 건조하고 비생산적일 수 있다. 흔히 야간에 발생
② 쉽게 피로해진다. - CO저하, 야뇨증, 불면증, dyspnea, 만성 부전의 영향
③ 불면증
④ 빈맥 - S3 심실 분마음
* 우심부전 : 상승된 맥박, 전신 정맥과 모세혈관의 울혈 증상과 징후가 나타난다.
① 발목의 부종, 원인불명의 체중증가
② 간 울혈 : 상복부 통증 유발
③ 경정맥의 팽창
④ 체강 내의 비정상적인 수분(늑막강, 복강)
⑤ 식욕부진과 오심 : 간과 내장의 부종
⑥ 야뇨증 : 이뇨 작용은 휴식을 취하는 야간과 심박출량의 증가 시 발생
⑦ 허약
⑷ 관리
① 심근수축력 강화 : digitalis, dopamine and dobutamine
② 심근 작업량 감소
■ 전부하 감소 : 이뇨제, nitroglycerin과 isosorbide dinitrate(정맥 확장제)
■ 후부하 감소 : 혈관 확장제, Hydralazine(동맥 확장제),
sodium nitroprusside(혈관 확장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이뇨유발), ℬ-교감신경 차단제
■ 식이요법 : 염분 제한, 수분 제한, 단백질 섭취
③ 심장부담 감소 : 안정, 저염식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