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1. 서론
2. 본론
(1) 애착과 상상력
(2) 세계를 나서는 아이들을 위한 보육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든 어린이는 예술가이다.” 스페인 화가이자 입체파의 거장인 파블로 피카소가 남긴 명언이다. 어른이란 역명의 종착역을 향해 아이들은 “성장”의 연장선에서 내달리고 있다. 유아적 속성의 대명사인 “순수함”은 성년의 색채로 가득한 사회의 짙은 “아쉬움”의 반증이 된다. 하지만 아이들의 운명은 어른의 국경을 가리키고 있다. 이민하 시인은 어린이를 찰흙 놀이에 빗대면서 어른을 플라스틱 신도로 은유했다. 유연한 찰흙과 대비되는 플라스틱에 종교성을 병합한 모티프는 아이들이 죄를 짓고 플라스틱 신도로 다시 만나는 결말로 매듭짓게 된다. 이민하의 시집 「세상의 모든 비밀」 중 「포도나무 아래서」란 작품을 인용하였다.
즉 어른이 되는 길은 교육적 주체인 성인의 보조를 받아 성장하는 모순에 도달한다. 유아가 성인까지 성장할 때 교육적 보조를 받는 것을 “보육”이라고 말한다.
참고자료
· 세상의 모든 비밀」, 이민하, 문학과지성사, 2015.
· 인지발달적 상호작용이 유아 디자인교육에 미치는 영향 : 피아제(Jean Piaget)와 비고츠키(Lev S.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을 중심으로」, 송지성, 이성애,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8권 제3호』, 2012.
· 프로이트의 도덕발달 이론에 관한 고찰」, 송석재, 청원군: 한국교원대학교, 1996.
· 감정의 격동」, 마사 누스바움, 새물결, 2015.
· 예술과 객체」, 그레이엄 하먼, 갈무리, 2022.
·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Hazan, C.; Shaver, P.R., 『J Pers Soc Psychol』, 198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