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러스(1971)는 과학을 인간의 경험에 대한 진술의 진위를 가려내고 검정하는 방법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물론 경험적인 진술의 진위를 검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권위적 방법' '신비적 방법' '논리적 ․합리적 방법' '과학적 방법' 등이 있다.
권위적 방법(authoritarian mode)은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사람들이 제시한 진술을 그대로 지식으로 수용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지식을 추구하는 이들은 사회적으로 특수한 지위를 점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의존함으로써 진실된 진술을 하게 된다.
신비적 방법(mystical mode)은 부분적으로 권위적 방법과 연관이 있으며, 초자연적인 지식 제공자들로부터 지식을 얻는 방법이라는 측면에서 유사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권위적 방법이 지식 제공자의 사회적 지위에 의존하는 반면, 신비적 방법은 지식을 찾고자 하는 이들의 개인적 상황에 더욱 의존한다.
논리적 ․ 합리적 방법(logical-rational mode)은 사실을 주장하는 진실이 나타나게 된 절차에 주로 의존하며, 그 절차는 형식적 논리의 규칙을 따른다. 이 방법은 사실을 주장하는 절차의 규칙과 공리를 받아들이게 되면 정당한 지식으로 인정하게 된다.
과학적 방법(scientific mode)은 일차적으로 문제가 되는 진술의 관찰결과에 의존하고, 이차적으로는 그 진술을 만들어 내는 데 이용한 절차나 방법에 의존한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의 권위적 방법, 신비적 방법, 논리적 ․ 합리적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술을 만들어 내는 사람의 특성이 갖는 중요성이 덜하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