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2022년 총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더불어 0.78명이라는 역대 세계 최저의 출산율을 기록하였다. 당시에도 국가의 근간이 흔들릴만한 충격적인 사건이었으나 저출산의 늪은 계속 심화되어 2023년인 올해 7월의 출생아 수가 무려 2만 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당월 역대 최저치를 또다시 갱신하였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출산율은 0.7명대의 벽마저 무너지고 0.6명대로 추락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저출산 문제에서 우리나라처럼 끊임없이 출산율이 떨어지고 출생아 수가 감소하는 형상은 인류 역사상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희귀한 사례다. 현재 우리의 상황과는 다르게 2019년 기준 OECD 38개국의 평균적인 출산율은 1.61이었다. 대부분 코로나-19 기간에 하락했었던 출산율은 코로나 사태에서 벗어나며 대부분 반등하여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하고 있는 수준이고, 아이슬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네덜란드, 헝가리 등은 오히려 출생아 수가 더 늘어났다고 보고되었다. 저출산이 불러일으킬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를 생각해 본다면 저출산 문제는 가장 최우선으로 극복해야 할 국가정책 대상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