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과학교육과 일반화학실험에서 A+을 받은 레포트입니다.
반트호프 방정식을 이용하여 옥살산의 용해열을 측정하는 실험 과정과 결과도출 방법, 실험 고찰까지 상세히 작성하였습니다.
레포트를 따라 실험을 진행하시거나 레포트를 쓰신다면 좋은 점수 받으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목차
Ⅰ. 서론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Ⅱ. 본론
1. 실험 준비물
2. 실험 방법
3. 시약 선택 이유
Ⅲ. 결론
1. 실험 결과
2. 실험 고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실험 목적
- 옥살산의 용해도를 두 온도에서 측정할 수 있다.
- Van’t Hoff 방정식을 이용해 옥살산의 용해열을 구할 수 있다.
2. 실험 이론
1) 용해도
- 용해도는 특정한 온도에서 주어진 양의 용매에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최대량이다. 그러므로 용매 100g당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g 수로 정의할 수도 있다. 특정 용질의 용해도는 용질의 물리적 특성, 화학적 특성, 압력, 온도 등에 의존한다. 대부분의 물질에서 용해도는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고체 대부분은 물질의 용해도가 온도와 비례하여, 온도가 증가하면 용해도도 함께 증가한다. 따라서 이러한 용해도 차이를 이용해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반대로, 물에서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에 반비례하여 온도가 증가하면 감소한다.
2) 용해열
- 용해열은 물질 1mol을 용매에 녹일 때, 출입하는 열을 말한다. 즉, 물질 1몰이 과량의 용매에 완전히 용해할 때 출입하는 열이다. 용해에는 항상 열의 출입이 따르기 때문에, 방출 혹은 흡수되는 열을 반응열이라고 하고, 가 양의 값을 가지면, 흡열 반응, 음의 값을 가지면 발열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산염기 적정(중화적정)
미지의 농도를 가진 산에 농도를 알고 있는 염기를 산의 당량만큼 넣거나, 반대로 미지의 농도를 가진 염기에 산을 가해 그 소비량을 확인하고, 농도를 결정하는 것을 산염기 적정이라고 한다. 즉, 뷰렛과 같은 부피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분석물과 시약 사이에서 일어나는 반응이 끝날 때까지 기지 농도 표준액을 분석물에 첨가하는 것을 말한다. 산염기 적정에서, 당량점이란 산이나 염기를 중화시키는데 딱 맞는 양의 염기나 산을 가한 지점이다. 당량점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용액의 성질이 산성에서 염기성으로 변하거나, 염기성에서 산성으로 변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리트머스 종이나, 페놀프탈레인 용액, 메틸 오렌지 등과 같은 지시약을 활용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옥살산. [네이버 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3101&cid=62802&categoryId=62802>(검색일: 2023,11.12.).
용해열. [네이버 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0176&cid=40942&categoryId=32251>(검색일: 2023.11.12.)
수산화나트륨. [네이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5409&cid=40942&categoryId=32260〉(검색일: 2023.11.12.)
페놀프탈레인. [네이버 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2921&cid=62802&categoryId=62802〉(검색일: 2023.11.12.)
반트호프 식. [네이버 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2785&cid=62802&categoryId=62802〉(검색일: 2023.11.12.)
Jason Overby·Raymond Chang, 레이먼드 창의 일반화학, 화학교재연구회 역, 제 7판; 서울: 사이플러스, 2017, p.97.
Jason Overby·Raymond Chang, 레이먼드 창의 일반화학, 화학교재연구회 역, 제 7판; 서울: 사이플러스, 2017, p.161.
대학교재연구회, 최신일반화학실험, 초판; 서울: 사이플러스, 2010, pp.97-99.
Alexander Apelblat, Emanuel Manzurola, Solubility of oxalic, malonic, succinic, adipic, maleic, malic, citric, and tartaric acids in water from 278.1 to 338.15K, the Journal of Chemical Thermodynamics, Volume 19, Issue 3, 1987, pp.317-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