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번 실험은 수소이동 반응에 의해 중합되는 고분자인 폴리우레탄 탄성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폴리우레탄 수지의 특성 변화와 아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을 알아보는 실험이다. 폴리우레탄은 하이드록시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하드 세그먼트)를 합성해서 우레탄을 만든다. 주사슬에 우레탄(-NH-CO-O-)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슬의 유연성, 수소결합, 결정화 정도, 가교결합의 정도, foam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그 응용범위가 다양하다. 신축성이 크고 탄성회복이 우수하며, 내약품성, 착색성, 내마모성 등도 우수하다. 조성분 종류 및 함량에 따라서 hard한 플라스틱에서 유연한 탄성체까지 매우 특성변화가 크다.아이소시아네이트는 활성화 수소를 가진 알코올, 아민, 카르복시산, 물, 아마이드, 우레아 등의 화합물과 수소 이동 반응을 하고, 자체 내의 이중결합을 활용한 고리형성 반응이 가능하며, 폴리우레탄의 Hard Segment를 만든다. 폴리우레탄은 화학구조가 다양해서 그 응용범위가 넓으며 특히, 가구 및 바닥재 매트리스 생산 분야와 자동차 산업 분야에 가장 많이 소비된다. 우레탄 결합은 알코올과 아이소시아네이트가 부가중합 반응에 의해 형성되고 활성 수산기와 아이소시아네이트기가 결합항 우레탄 결합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두 개 이상의 반응기를 갖는 물질을 다관능기라 한다. 적정 조건 하 고온 열을 발산하며 1000이상의 분자가 결합한 것이다. 아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성은 공명구조, 전기 음성도 차이에 대해 음 부분 전하가 생성되고 질소와 산소가 있으면 탄소 중심이 양전하이며 활성수소에 의한 친핵체 공격에 취약
참고자료
· 네이버 블로그, 바람처럼, 폴리우레탄의 특성, 2023.11.02.,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yuny1&logNo=120109720930&proxyReferer=http:%2F%2Fwww.google.com%2Furl%3Fsa%3Dt%26rct%3Dj%26q%3D%26esrc%3Ds%26source%3Dweb%26cd%3D%26ved%3D2ahUKEwi27_a0ne3pAhW_yYsBHbXvC2YQFjABegQIChAE%26url%3Dhttp%253A%252F%252Fm.blog.naver.com%252Fhyuny1%252F120109720930%26usg%3DAOvVaw2PB47u1YRuewlj5YhkkEQ1
· 맥가이버, Re:우레탄 주제의 NCO%을 측정할수는 없나요.....(궁금), 2023.11.02.,
· https://m.cafe.daum.net/polymercafe/JOsA/25?q=D_4gI5L5EgFJI0&
· polymerdatabase, POLYURETHANES, 2023.11.02.,
· https://www.polymerdatabase.com/polymer%20classes/Polyurethane%20type.html
· 3번째 실험 수업자료 pdf.2023.11.02.,
· ResearchGate, Reaction of Isocyanates with amines, 2023.11.02.,
·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Reaction-of-Isocyanates-with-amines_fig4_327737176
· polymerdatabase, ADDITION REACTIONS OF ISOCYANATES, 2023.11.02.,
· https://polymerdatabase.com/polymer%20chemistry/Urethanes.html
· D. Braun, H. Cherdron and W. kern, “Techniques of Polymer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John Wiley & Sons, New York (1972), Chap. 4.
· E. A. Collins, J. Bares and F. W. Billmeyer, Jr., “Experiments in polymer Science”, John Wiley & Sons, New York (1973), Exp. 7.
· D. J. David and H. B. Staley, “analytical CHemistry of the Polyurethanes”. Part3, John Wiley & Sons, New York (1969), Chap. 6.
· C. Hepburn, “Polyurethane Elastomers”, 2nd ed., Applied Science Publishers, London(1992), Chap. 1 and 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