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조
-뇌를 구성하는 최소단위는 뉴런이라는 신경세포이다.
-두개골과 뇌척수막에 쌓여있으며 뇌의 아래는 척수와 연결되어 있고 그 안은 뇌척수액이 흐르고 있다.
-형태와 기능에 따라 대뇌, 소뇌, 뇌줄기(뇌간)으로 나뉘며, 뇌줄기를 좀 더 세분화하면 중간뇌, 다리뇌(교뇌), 숨뇌(연수)로 분류할 수 있다.
(1) 대뇌
-뇌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좌우 2개의 반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양에 따라 전두엽(이마엽), 관자엽(측두엽), 마루엽(두정엽), 뒤통수엽(후두엽)으로 나눌 수 있다.
-감각, 지각, 운동, 기술, 상상력, 추리력, 언어능력, 통찰력 뿐만 아니라 자율신경계 조절, 호르몬 조절, 항상성 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2) 소뇌
-대뇌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뇌 전체의 10%를 차지한다.
-대뇌의 기능을 보조하여 자발적 운동의 조절과 평형을 유지하는 기관으로, 조화로운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우리 몸의 균형을 잡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3) 뇌줄기(뇌간)
-대뇌반구와 소뇌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말하며 수많은 신경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① 중뇌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안구운동, 홍채조절과 같은 시각반사와 청각반사에 관여한다.
-무의식적 반사운동의 중추로 자율신경계의 조절, 체온과 혈당 등을 조절한다.
② 교뇌
-중간뇌와 연수 사이에 존재하며 소뇌와 대뇌 사이의 정보전달을 도와주고 얼굴과 눈을 움직임에 관여한다.
-연수와 함께 호흡 조절의 역할을 수행한다.
③ 연수
-척수와 교뇌 사이에 존재하며 호흡, 순환운동의 조절을 담당한다.
-많은 신경세포가 연결되어 있어 자율신경계의 중계소 역할을 한다.
2) 기능
(1) 운동 조절 기능
-대뇌 피질에서 운동에 대한 신호를 보내면 이는 뇌줄기와 척수를 지나 필요한 근육으로 전달되어 우리는 원하는대로 몸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2) 감각인식 및 해석기능
-우리 몸의 감각기관에서 들어온 신호를 대뇌의 피질에서 받아들이고 처리하여 느낄 수 있게 해준다.
(3) 언어전달기능
-대뇌 피질에서 수행하며 전두엽의 브로카에서 언어의 발성을, 측두엽의 베르니케 영역에서는 언어의 이해를 담당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