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혈액계, 비뇨기계, 내분비기능장애, 근골격계, 전염성 감염문제, 예방접종표 요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 혈액계 특성
- 혈액 = 혈구(45%, RBC,WBC) + 혈장(55% 알부민, 혈액응고인자, 전해질, 항체)
- 혈청(serum) : 혈장에서 단백질과 섬유응고원(피브리노겐)이 제거된 것
- 적혈구 [350만~450만]
: 혈액 중 가장 많은 양 차지, 혈색소(Hb)포함, 조직으로 산소공급, 폐로 이산화탄소 운반
: 생성조절 호르몬 = EPO (erythropoietin), 평균수명 120일
: 적혈구 대사 (비장에서 제거)
: 아동 적혈구 평균수명 짧아서 대사 산물이 많음 ☞ 황달 多
- 백혈구 [4,000~10,000] *신생아 (20,000~30,000)
: 과립백혈구 (호산구, 호중구, 호염구), 무과립백혈구 (B림프구, T림프구, 단핵구)
: 식작용, 미생물 제거, 면역작용
: 생성(골수, 림프절, 비장, 흉선)
- 혈소판 (Platelet, thrombocyte) [150,000~400,000]
: 지혈기능, 수명 (8~10일)
: 생성(thrombopoietin)
: 파괴(간, 비장)
■ 아동혈액계 특성
- 조혈 (hematopoiesis) : 혈액의 세포성분 생성과정
- 태아기 조혈 : 난황난 → 간 → 골수
- 출생 후 조혈 : 골수에서 혈구 생성.
- 신생아의 혈액량 : 85ml/kg ☞ 3kg (약 255cc)
- 신생아는 높은 EPO로 인해 RBC, Hb 증가 (얼굴이 붉음), 높은 WBC, 혈소판, 혈액응고인자 적음 ☞ 비타민K 주사 (외측광근 IM)
■ 빈혈 (anemia) : 적혈구의 수, 헤모글로빈의 양이 정상보다 감소한 상태
영유아기의 생리적 빈혈 : 출생 8~12주에 가장 낮음
- 적혈구 생산 저하 (영양 결핍, 골수기능장애)
- 적혈구 파괴 증가 (혈구 내, 혈구 외)
- 적혈구 손실 증가 (혈액손실☞혈우병)
1) 철결핍성 빈혈 IDA
- 원인 : 출생시 철 저장의 부족, 철 소실 증가 (미숙아, 다태아, 분만시 출혈)
· 철분섭취 부족 (흡수 장애) : 철분이 부족한 식사, 흡수불량증후군
· 증가된 생리적 요구 (철분 소비량 증가) : 미숙아, 성장기 빠른 영아 또는 청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