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한국의 이해 ) 분단국의 통일사례와 한반도 통일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
- 최초 등록일
- 2023.12.14
- 최종 저작일
- 2023.12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4,500원
목차
I. 서론
II. 각 분단국의 통일 사례가 시사하는 바와 통일 한국이 배울 점
1. 독일의 분단과 통일 사례
2. 분단 베트남의 통일 사례
3. 예멘의 통일 과정에 대한 평가
III. 통일 한국이 나아가야 할 시나리오의 방향
1. 상황에 맞는 통일유형
1) 합의형 통일
2) 흡수형 통일
3) 적대적 공존
4) 무력형 통일
2. 통일 한국이 나아가향 할 시나리오의 방향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950년 발발한 한국 전쟁은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으로 대한민국은 잠시 전쟁을 쉬는 나라로 여전히 적대적 군사 대치와 끊임없는 체제경쟁을 이어오고 있다. 기나긴 남북 관계는 정권에 따라 교류와 대화를 이어나가며 서로 평화적 접점을 찾기도 했지만 국제 사회의 정서와 별개로 남북 관계는 늘 긴장과 평화를 반복하며 이어나가고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4조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대한민국은 통일을 지향하며 자유민주주의적 이념에 근거해 평화 통일정책을 세우고 이를 추진하기 위해 노력한다. 따라서 5년마다 선출된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자신이 앞으로 펼칠 명확한 통일정책을 계획하고 이를 실천하려는 목표를 가지므로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끊임없이 새로운 대북정책이 제시되었다. 게다가 한반도 정세는 당시 세계적 기류에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일본이나 중국과 미국의 태도에 따라 달라졌지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북의 대남정책과 남의 대북정책 기조에 따른 변화이다. 이때 가장 예측할 수 없는 부분은 북한의 태도와 행동이다. 실제 문재인 정부의 대북 기조에 초기 북한은 서로 덕담과 농담을 주고받을 만큼 상당한 호감을 표했지만, 후기에 접어들어 급랭해 남북 관계는 예측이 어려워 불확실성에 빠졌다. 남북 관계는 즉각 남쪽의 사회와 정치 경제에 이르기까지 넓게 영향을 미치지만, 안정화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실제 대한민국 역대 정부의 통일정책기조는 그 기반을 마련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실제 1989년 9월 노태우 정부에서 마련한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통일정책에 대한 기본적인 골격을 구축한 방안이며 이를 바탕으로 1994년 김영삼 대통령은 8월 15일경축사를 통해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발표했다. 이로써 남북의 통일정책 기조가 완성되었다. 여기에서 화해와 협력, 남북연합, 통일국가 완성이라는 3단계 통일방안은 이후 정부의 통일 기조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는 대북정책이다.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자 남북은 화해의 흐름으로 급진전했다.
참고 자료
이종석(2021). “통일시나리오 분석과 북한지역 주택정책 연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 박사 논문.
전효진(2003). “분단국가의 통합과정과 정치교육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권영기(1997). “한반도의 분단국가형성에 미.소군이 미친 영향에 관한 비교 연구 : 제3세계 국가형성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이철(2016). “분단국 사례로 본 통일한국의 군사통합 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홍봉기(2016). “통일 한국의 적정 군사력에 관한 연구 : 분쟁 시나리오와 상대적 균형전략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국내 박사 논문.
전형호(2011). “독일통일에 비추어 본 한반도 통일준비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김주천(2019). “독일통일과 예멘통일의 비교연구 : “선통합 후통일”과 “선통일 후통합” 차이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김계동(2020). “남북한 체제통합론”, 명인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