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충남대 생물학실험 보고서입니다! (A+)
목차
I. 서론
II. 재료 및 방법
III. 결과
IV. 논의
V.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미경이란 미소한 대상을 확대하여 직접 관찰하는 장치이다(강영희, 2008). 현재의 현미경과 같은 구조를 지닌 현미경은 1590년 네덜란드의 자하리야 얀센(Zacharias Jansen, 1580~1638)과 그의 아버지인 한스 얀센(Hans Jansen)에 의해 발명됐다(왕연중, 2012). 현미경은 보통 광학현미경을 가리키는데 넓은 뜻으로는 전자현미경을 포함하기도 한다(강영희, 2008).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e)에서는 뚜렷한 빛이 미생물이나 또는 동·식물 조직의 얇은 조각과 같은 표본을 통과한다(Reece et al., 2018). Hooke가 세포를 발견한 1665년부터 1900년대 중반이 되기까지, 생물학자들은 세포를 관찰하는 데에 오직 광학현미경 만을 사용했다(Reece et al., 2018). 이러한 현미경 그리고 세포의 구조 사이의 대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염색 기술과 함께, 초기 생물학자들은 미생물, 동·식물 세포, 심지어는 세포 내부의 어떠한 구성요소까지 발견했다(Reece et al., 2018).
1800년대 중반, 이러한 증거들의 축적은 세포설(cell theory)을 이끌었고 이것은 모든 생물이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든 세포는 또 다른 세포에서 생겨난다고 주장했다(Reece et al., 2018). 이런 세포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생물학자들이 1950년대에 전자현미경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매우 큰 도약을 했다(Reece et al., 2018). 빛을 사용하는 대신, 전자현미경(electron microscope)은 표본 혹은 그것의 표면을 통과하는 전자선에 초점을 둔다(Reece et al., 2018).
1600년대에 현미경이 처음으로 사용되기 전, 살아있는 생명체가 우리가 세포라고 부르는 아주 작은 구성단위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누구도 알지 못했다(Reece et al., 2018). 세포란 생물의 기능적, 구조적 기본 단위이다(뉴턴편집부, 2010). 크기, 모양, 기능이 다른 다양한 세포가 있지만 막으로 덮인 구조와, 그 안에 유전정보를 가진 점은 공통이다(뉴턴편집부, 2010). 유전정보가 ‘핵’ 안에 있는 세포를 ‘진핵세포’, 유전정보는 있지만 명확한 핵이 없는 세포를 ‘원핵세포'라 한다(뉴턴편집부, 2010).
참고 자료
강영희. 2008.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도서출판 여초.
곽효길. 2010. 원리사전, 과학동아.
뉴턴편집부. 2010. 과학용어사전, 뉴턴코리아.
왕연중. 2012. 발명상식사전, 박문각.
한국식품과학회. 2012. 식품과학사전, 교문사.
화학용어사전편찬회. 2011.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Reece, J. et al. 2018. Campbell Biology:Concepts&Connections,Global Edition, 9th edition, Pearson Higher Education, pp.98-103.
다음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71632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25h0922b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53658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71745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81884&cid=62861&categoryId=62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