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교육사회학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공교육 내실방안 관련 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교육격차의 문제점
2. 교육격차 실태
Ⅱ. 본론
1. 교육격차의 개념
2. 공교육과 사교육의 차이점
3. 우리나라 평생교육제도 등장
Ⅲ. 결론 교육격차해소를 위한 공교육 내실방안
1. 공교육 정책 홍보 강화
2. 저소득 지역의 교육우선지역 제도 마련
3. 삶과 연계한 독서 · 연극 · 노작 수업 공교육 커리큘럼 개발
4. 보편화된 공교육의 디지털 혁신 강화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교육격차의 문제점
교육격차의 문제는 교육체제, 교육행정, 재정, 교육 및 사회정책 등 교육의 외면적 측면뿐만 아니라 학교의 교육과정과 운영, 학급조직, 교수-학습과정에서의 제반 여건에서 비롯된다. 교육의 균등, 형평, 공평이라는 개념과 대립적인 의미로 교육격차라는 개념을 도입하고자 한다. 격차는 현상적 · 실제적 · 가시적 관점에서 불평등의 개념보다는 구체적이고 접근이 용이한 개념으로 받아들이고자 한다. 종래에는 교육격차의 주된 원인이 주로 학생의 타고난 능력이나 지능, 성취동기 등의 개인적 차원에 있다고 보았으나, 점차 이러한 문제는 개인적 자유추구의지는 인간의 특권으로 찬양되면서 기성특권을 합리화시켜 왔고, 그 결과로 권력, 지위, 부 등의 격차가 야기됨에 따라 평등-격차의 논의가 철학, 사회학, 경제학, 교육에 이르기까지 검토를 받게 된 것이다. 교육격차를 생각할 때 시각을 투입의 균등, 즉 기회의 균등이라는 명제에서 결과의 균등, 평등이라는 명제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2. 교육격차 실태
교육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사교육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초·중·고 학생이 쓴 사교육비 총액은 26조원으로 역대 최대치였다. 코로나19 이후 무너진 공교육의 여파란 해석이 잇따랐다.
참고 자료
김병성, 교육과 사회, 학지사, 2004, p.362-380.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9, p.123.
김영화,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10, p.65.
김기중 기자, “올라가던 평생학습 참여율, 코로나19로 ‘5년 전으로’”, 2022.07.24., 서울신문,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724500074&wlog_tag3=naver.
박태인 기자, “‘공정’으로 수능도 때렸다 ”부모 경제력 따른 교육격차 안돼“”, 중앙일보, 2023.06.16.,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70329.
송순재, 혁신학교, 한국교육의 미래를 열다, 살림터, 2017, p.343-424.
이상윤, 「교육격차해소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0, p.34.
한정호 기자, “‘추진력’ 얻는 공교육 디지털 혁신”, 2023.11.13., 아이티데일리,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18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