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아동간호학 acute bronchitis CASE STUDY] 문헌고찰, 간호과정, 간호진단, 결론
- 최초 등록일
- 2023.11.29
- 최종 저작일
- 2020.03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A+ 아동간호학 acute bronchitis CASE STUDY] 문헌고찰, 간호과정, 간호진단, 결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급성 기관지염의 정의
2. 급성 기관지염의 병태생리 및 원인
3. 급성 기관지염의 증상 및 징후
4. 급성 기관지염의 진단적 검사
5. 급성 기관지염의 치료 및 간호
6. 급성 기관지염의 합병증 및 예후
Ⅱ. 본론
1. 간호사정
2. 임상검사
3. 특수검사
4. 간호진단
5. 간호과정
6. 퇴원요약
Ⅲ.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관지의 해부생리>
기관지는 호흡기의 중, 하부 기도로서 입과 코로부터 폐까지 공기가 들어가는 통로이다. 기관지는 기관의 말단에서 오른, 왼 주관지로 분지한 다음, 각각의 주기관지가 나뭇가지 모양으로 폐엽 기관지, 구역 기관지, 아구역기관지, 소기관지, 세기관지로 갈라진다.
◈ 기능
호흡 시 외부로부터 폐포로, 폐포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또한 기관지에 들어오는 이물질이 있으면 바깥으로 이동시켜 제거하는 역할과 외부에서 침입한 균에 대한 면역작용도 수행한다. 이물질은 기관지 점막의 점액과 섬모운동에 의해 제거된다.
◈ 관련질병
기관지염, 천식, 결핵, 기관지확장증 등
⑴ 급성 기관지염(acute bronchitis)의 정의
급성 기관지염은 큰 기도(기관 및 기관지)의 감염으로, 흔히 상기도감염과 관련된다. 기관지에는 청소역할을 하는 섬모들의 자가 청소 기전이 일시적으로 손상되어 세균이 침입한다. 기관지 점막은 두꺼워지고 충혈 되며, 끈적끈적한 점액이 나오게 된다. 병이 진전되면 기관지 점막이 붓고 내강이 좁아지기 때문에 호흡이 곤란해진다. 보통 급성 기관지염은 저절로 나아 영구적인 구조적 손상이나 기능 손상은 오지 않는다.
⑵ 병태생리 및 원인
①병태생리
- 기관지 세균 침입 → 기관지 점막 비대, 충혈로 인해 내강이 좁아짐 → 기도통로의 부종 → 세포파괴로부터의 삼출액과 점액 축적 → 기관지 폐쇄 → 호흡곤란
- 환기장애는 호흡성 산혈증(respiratory acidosis)을 유도하는 저산소증(hypoxia)과 탄산 과잉증 초래
②원인
1) Virus
①Rspiratory Syncytial Virus(RSV) (50% )
②adenovirus : bronchiolitis obliterans, uni-lateral hyperlucent lung syndrome등 장기간 계속되는 합병증 일으킬 수 있음.
③influenza virus, Parainfluenza virus
참고 자료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김근순(2017), 『약리학』, 수문사
조승목(2007), 『인체해부학 3판 수정판』, 정담미디어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편(2000), 『생리학』, 정담미디어
아동간호학 실습지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