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Ⅰ.문헌고찰
1. 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2. 질환의 병태생리
3. 질환과 관련된 증상
4. 질환과 관련된 진단
5. 질환과 관련된 의학적 치료
6. 질환과 관련된 간호학적 중재
Ⅱ.간호사정
1. 대상자 인적사항
2.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3. 환자 기록
Ⅲ.간호과정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담낭은 간의 오른엽 바로 아래에 위치한 작은 가지 모양의 주머니로 길이는 약 7~10cm, 폭은 2.5~3cm 정도로 한 번에 20~60mL 정도 보유하며, 최대 보유량은 100~150mL이고 하루에 약 900mL의 담즙을 배출한다. 담낭의 혈관은 우측 간동맥에서 분지하는 담낭동맥과 담낭정맥으로 이루어지며 담낭의 신경분포는 복강총과 미주신경, 우측 횡격막 신경으로 이루어진다. 담낭은 염화나트륨과 대부분의 전해질을 담낭벽을 통해 재흡수함으로써 간에서 분비되는 담즙을 5~10배 농축하고 담낭관(cystic duct)으로 배출, 총담관(common bile duct)을 통과시켜 십이지장으로 흐르게 한다.
2. 질환의 병태생리
담낭염(cholecystitis)은 담낭벽의 염증을 말하며, 담낭염은 과체중 환자, 앉아서 생활하는 환자에게 이환율이 높고 담석에 의한 담관의 폐색이 급성 담낭염의 일반적인 원인이며 5~10%는 비담석성 담낭염이 나타날 수 있다. 만성 담낭염은 주로 중년층이나 비만한 여성에게 나타나며, 여성이 남성보다 3배 높게 나타난다.
3. 질환과 관련된 증상
담낭염은 발병기간에 따라 급성 담낭염과 만성담낭염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담낭의 염증은 가장 흔하고 확실한 소견은 오른쪽사분역(RUQ)의 압통이다. 비록 급성 담낭염 환자와 만성 담낭염 환자가 같은 형태의 통증을 호소할지라도, 통증의 심한 정도와 지속 기간에 따라 구분한며 만성 담낭염은 급성 담낭염의 결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개는 급성 담낭염과는 독립적으로 발병하며 대부분이 담석과 관련이 있다.
급성 담석성 담낭염(acute calculous cholecystitis)
담관의 폐색에 의해 나타나는 급성 담석성 담낭염은 담낭 팽만을 유발한다. 2차적으로 정맥성, 림프성 배액 장애, 세균 증식 유발, 국소적인 피부자극 또는 침윤, 허혈 부위가 악화될 수 있다. 염증이 있는 담낭벽은 부종이 있고 딱딱하며, 괴사되는 경우도 있다.
참고자료
· 성인간호학I, 윤은자 외 공저, 수문사, page 481~552, 604
·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 외 공저, 고문사 page 218~308
· 핵심기본간호수기, 양선희 외 공저, 현문사, page 350~351
· 대한췌장담도학회 https://www.kpba.kr/html/?pmode=ercp
· 복부골반CT https://www.cmcseoul.or.kr/healthcare/process/examination_view.do?no=15
· 내시경 종류 https://blog.naver.com/godus26/222033578465
·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 담낭염의 종류 -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 PTGBD - https://blog.naver.com/ohee00/222754109624
· PTBD- https://blog.naver.com/angio7179/22283849637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