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사례
1) 루빈의 잔
2) 엘리자베스 여왕과 필립공의 얼굴'이 들어있는 '기념 꽃병'
3.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순간 관심의 초점이 되는 부분을 전경, 관심 밖에 놓여 있는 부분을 배경이라고 한다. 게슈탈트를 형성한다는 말은 개체가 어느 한순간 가장 중요한 욕구나 감정을 전경으로 떠올린다는 말과 같다. 즉 어떤 대상을 인식할 때 관심이 가는 부분은 지각의 중심으로 떠올리지만, 나머지는 관심이 가지 않는 배경에 머물게 된다.
예를 들어 막 사랑에 빠진 연애 중인 한 남자가 저 멀리서 북적이는 수많은 인파 속에서 자신의 여자 친구가 다가오는 장면을 떠올려 보자. 그는 강력한 게슈탈트를 형성하여 수많은 대상들을 배경으로 하고 자신의 연인을 전경으로 떠올려 즉시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건강한 개체는 매 순간 자신에게 중요한 게슈탈트를 선명하고 강하게 형성하여 전경으로 떠올릴 수 있는 데 반해, 그렇지 못한 개체는 전경을 배경으로부터 명확히 구분하지 못한다.
참고자료
· <알기쉬운 게슈탈트> 프레드릭 살로몬 펄스, 장기야 e퍼플 2023
· <인지심리학> 조 폴 마인다 웅진지식하우스 2023
· <전경과 배경의분리> 네이버 블로그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jdyi8589&logNo=22082255267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