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 첫 회기로 구성원들의 흥미 유도 및 참여 증진
- 협동심 및 사회성 증진
- 규칙 지키기 학습
- 손 힘 조절
- 세밀한(tip pinch 등) 손 사용 증진
준비물
- 컬러 젠가(주사위 포함), 병뚜껑(인당 1개씩), 동물이나 사람, 자연물(나무 등) 장난감 등
활동방법
〈 젠가 활동 〉
1. 활동 시작 전 치료사는 구성원들에게 활동의 규칙을 설명한다.
2. 구성원들끼리는 활동의 순서를 정한다.
3. 구성원들은 자신의 차례가 오면 주사위를 굴린다.
4. 주사위에 나와있는 색깔의 젠가를 뺀다. *한 손 사용
5. 젠가가 무너질때까지 3~4번을 반복한다.
〈 병뚜껑 멀리 날리기 활동 〉
1. 활동 시작 전 치료사는 구성원들에게 활동의 규칙을 설명한다.
2. 구성원들은 자신의 병뚜껑을 정한다. (가정에서 가져올 수 있음)
3. 구성원들은 병뚜껑 윗면에 자신의 이름을 쓴다.
4. 테이프로 시작 선을 표시한다.
5. 구성원들은 자신의 차례를 지켜가며 활동을 진행한다.
6. 게임 1회가 끝나면 물이나 장애물 (동물, 사람, 자연물 장난감)을 세워두고 이를 피해서 게임할 수 있도록 한다.
Grading
〈 젠가 활동 〉
- 한손 사용을 어려워 하는 아동은 양손 사용으로 수정하여 진행 (-)
- tip pinch 사용을 어려워 하는 아동은 치료사나 다른 아동이 수행을 도와줄 수 있음 (다만 마지막 수행만큼은 해당 아동이 할 수 있도록 유도) (-)
〈 병뚜껑 멀리 날리기 활동 〉
- 손 힘이 약한 아동은 비교적 가벼운 병뚜껑으로 대체 (-)
- 장애물 및 거리 인지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은 장애물의 수를 줄이거나 간격을 넓혀서 진행 (-)
- 수행에 어려움이 없는 아동들은 점차 장애물 개수 늘리거나 코스를 어렵게 수정하여 진행 (+)
참고자료
· C.Stock Kranowitz. (2011). 「우리아이 왜 이럴까」.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 이민재, 최선희, 서원영, 강현규, 이은재, 정재영, 유수연, 손상원 & 오태형. (2019). 「사회인지 향상을 위한 그룹작업치료 프로그램과 적용사례」. 학지사메디컬.
· 송지원 & 홍은경. (2021). 발달지연 아동의 시-운동 협응 및 소운동 협응 기능 향상을 위한 과제지향의 중재 적용 : 단일대상연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현재민 & 유은영. (2021).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작업치료 중재법에 대한 고찰연구 - 국내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