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
- 최초 등록일
- 2004.07.30
- 최종 저작일
- 2003.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평생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관련된 자료입니다...
시험자료로 만들었던 것인데...
관련 과목에 도움이 많이 될것입니다...
목차
프로그램의 기획
1. 상황분석
- 프로그램개발 타당성 분석
- 지역사회 / 사회 맥락 분석
- 평생교육 기관 분석
2. 기본 방향 설정
- 프로그램 형태
- 프로그램개발 범위
- 프로그램 모델 설정
3. 학습 고객 분석
- 학습 고객 매핑
- 학습자 요구 및 필요 분석
- 우선 순위 설정
프로그램 설계
1.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설정
- 교육 목적
- 프로그램 목적
- 학습 목표
2. 내용 설계
- 프로그램 내용 선정
- 프로그램 내용 조직의 기본 원리
- 교육 내용 설계(코스설계 방법)
3. 방법 설계
- 교육 운영 설계
- 교육 매체 설계
프로그램 마케팅
- 프로그램 마케팅 개념
- 프로그램 마케팅 모형의 비교
- 프로그램 마케팅 절차
(문제 인지 / 정의, 목표설정, 시장 분할, 마케팅 전략 수립, 프로그램 마케팅 수행,
평가 및 조절)
- 프로그램 마케팅 기법
본문내용
프로그램의 기획
프로그램 기획은 프로그램개발의 반석으로 이 과정을 어느 정도 충실하게 수행하느냐에 따라 완성될 프로그램의 타당성이 확보되고, 프로그램개발의 전 과정이 체계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프로그램 기획에서는 첫 번째로 상황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프로그램개발의 상황분석은 프로그램개발과 관련된 기본적인 요소를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우선적으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은 평생교육기관과 학습자, 교수자, 그리고 외부의 요구에 비롯되는 것이 보통이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평생교육기관과 교수자가 행하는 미래지향적인 활동으로 사회변화에 대한 교육적 응담이며, 새로운 변화를 창출하기 위한 교육적 대안 제시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수행되어야 할 것은 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는가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고 분석하는 일이다. 그리고 지역사회 및 사회 맥락의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프로그램개발은 지역사회의 상황과 여건을 고려해야한다. 프로그램에 참여가 예상되는 학습고객이 지역사회의 주민이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평생교육기관이 지역사회에 소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역사회 분석은 문화적, 사회적, 심리적, 경제적, 정치적, 물리적 요소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다. 이러한 요소들에 의해 프로그램의 전개상황이 달라지기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여건을 수용하고 급속히 변화하는 상황에 적절히 대처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평생교육그로그램개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