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아동학대 상황에서의 간호사로서의 역할과 윤리의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아동이란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미성숙한 상태의 사람을 말한다. 아동은 성숙할 때까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으로부터 성장, 발달, 건강과 안녕이 보호되고 촉진되어야 한다. 아동복지법 제3조 제7항에서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을 말한다고 제시하였다. 아동학대의 유형으로는 신체학대, 정서학대, 성 학대, 방임이 있다. 아동학대는 아동기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성인기가 되어서도 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다. 아동학대를 경험한 집단은 아동학대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해 초기 성인기에 흡연을 더 많이 하며, 주의집중, 공격성의 문제가 더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는 아동학대를 경험한 집단이 더욱 낮다는 결과가 있었다. 아동학대는 아동이 성인이 되었을 때뿐만 아니라 생애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발견과 신고가 중요하다.
참고자료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51593APA Style 신화진 (2018). 소아병동 간호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및 신고태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9(5), 995-1002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8759449APA Style 고혜인, 김성봉 (2019). 아동학대 신고의무, 교육, 그리고 실행의도의 상호작용이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연구, 30(3), 331-349.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33736
· 류기환 (2021). 아동학대 현황과 그 대응방안 - 행정조사와 경찰수사를 중심으로 -. 법이론실무연구, 9(1),9-33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46836
· 김세원 (2021). 청소년기 아동학대 피해 경험과 초기 성인기의 발달 결과. 청소년문화포럼, 33-6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