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A+ 아동간호학 폐렴(pneumonia)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참고] 간호진단 3개입니다.
목차
1.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2.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3. 간호진단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질병명
폐렴(pneumonia)
2) 정의
폐렴(pneumonia)은 폐 실질(세기관지와 폐의 폐포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영아와 어린 아동에게 가장 흔히 발생한다. 대부분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의해 발생하게 되지만 드물게 이물질 및 음식물 등이 기도로 넘어가서 발생하는 흡인성 폐렴 및 방사선 치료,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폐렴도 발생할 수 있다.
3) 원인 또는 유발요인
폐의 침범된 정도에 따라 해부학적으로 대엽/소엽 폐렴, 간질 폐렴(폐포 주위 조직에 생긴 폐렴), 기관지/폐포성 폐렴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원인적으로 분류하는 것이 치료나 예후 결정에 더 도움이 된다.
선천성 면역결핍환자, 항암치료 등으로 인해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곰팡이에 의한 폐렴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폐렴의 원인은 나이와 면역 상태, 계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신생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바이러스가 원인이며 다음으로 마이코플라즈마균과 세균이 많다.
바이러스성 폐렴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세균성 폐렴
특징
2~3세 아동에게 가장 많이 발생
세기관지염, 기관지 주위염, 간질성 폐렴 형태로 나타남
5~12세 아동에게 가장 많이 발생
인구가 밀접된 장소에서 직접 접촉에 의해 일어남
비정형 폐렴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균
모든 연령군에서 발생하고 5세 이상의 아동에게 가장 많이 발생
대부분 상기도 감염에 의한 합병증으로 발생
원인
RSV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흔한 세균 미생물]
폐렴연쇄구균
클라미디아 폐렴균
황색포도상구균 등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