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응급 간호의 정의
응급이란 한 개인이 갑작스런 질병이나 상해로 인하여 건강과 안녕이 급속히 위협받는
긴박한 상황에 처하게 됨을 말함.
(2) 응급 간호의 목적
•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유지한다.
• 질병이나 손상이 더욱 악화되는 것을 방지 한다.
• 고통을 가능한 경감시킨다.
• 환자를 가치 있는 하나의 개인으로서 의미 있는 삶을 영위 할 수 있도록 회복시킨다.
(3) 응급 환자의 우선순위
① 의식상실 환자
② 호흡장애 환자
③ 35세 이상의 흉통 환자
④ 노인환자
⑤ 35℃ 이하이거나 40℃ 이상인 체온 변화가 있는 환자
⑥ 이동으로 가장 악화되기 쉬운 상처가 있는 환자
⑦ Shock 환자
⑧ 직접압박으로 지혈되지 않는 출혈 환자
⑨ 타인을 침해하는 행동 양상의 환자
⑩ 화학물질에 의한 화상 환자
(4) 응급 환자 검사
✓ EKG Monitoring
심장의 전기적 자극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써, 심근은 휴식상태에서 분극화되거나 충전되며, 심실과 심방의 심근세포가 수축했을때 탈분극화가되며 충전을 상실한다. 휴식기간 동안, 충전되거나 재분극을 얻게 된다. 이러한 심근의 탈분극과 재분극이 심전도에 기록된다.
•P파 : 동방결절에서 나온 전기적 충격이 심방으로 퍼져 심방의 탈분극이 일어나면서 수축할 때 기록됨
•PR간격 : P파의 시작부터 QRS의 시작까지를 의미, 동방결절에서 나온자극이 심방을 자극 한 뒤 방실결절을 거쳐 심실 수축 직전에 있음을 뜻함
•QRS파 : 방실결절에 도달한 전기적 충격이 심실로 전달되어 좌우 심실벽과
심실중격을 흥분시켜 심실을 수축시킬 때, 이를 심실의 탈분극 이라 함.
•T파 : 심실의 재분극을 표시한것, 심실수축 후의 회복기
* 흉부유도 *
횡단면에 있는 각 부위의 전기적인 힘을 기록하는 단극 유도법
* 검사방법 *
① 대상자를 앙와위로 눕히고 가슴을 드러낸다.
② 전극을 부착하기 전 피부를 닦아 낸다.
③ 사지 금속판에 전도매체 ( 크림, 젤, 또는 식염수 )를 발라준다.
④ 손목과 발목 편평한 곳에 전극을 붙인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