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공단위조작실험 레포트입니다.
A+ 받은 레포트입니다. 참고해서 작성하시고 좋은 점수 얻길 바랍니다 ^^
목차
1. title
2. date
3. apparatus & reagents
4. result
5. disussion
6. reference
본문내용
이번 실험은 glycerol 내에서의 glass bead 3mm, 5mm, 10mm와 zirconia bead 3mm, 5mm, 10mm의 침강속도를 구하고 이를 통해 항력계수를 구하는 실험이었다. 실험에 사용한 2000ml mass cylinder에는 glycerol 99%을 채워주었다. Cylinder를 기울이고 glycerol을 천천히 부어 기포가 생기지 않게 하였다. 이때 glycerol의 온도는 22℃였다. 2000ml cylinder를 사용하여 0~400, 400~800, 800~1200, 1200~1600, 1600~바닥까지 구간을 5개로 나누어 입자가 각 구간을 침강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였다. 구간 침강속도는 구간의 길이/소요시간 식으로 구하였으며 정확성을 위하여 하나의 bead 당 3회를 측정하였다. 각 bead 당 3회씩 측정한 후에는 각 구간의 침강속도를 구하고 종말속도를 구하였다.
침강 시 가속도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게 되고 0에 접근하여 침강속도는 일정속도에 이르게 되는데 이때를 종말속도라고 한다. 즉, 더 이상 가속되지 않고 일정한 속도로 낙하할 때의 속도를 말한다. 종말속도를 구할 때 첫 침강구간인 구간 1을 지날 때의 침강속도는 집게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배제하려 했다. 또한 마지막 구간인 구간 5를 지날 때에는 입자가 작아질수록 바닥에 닿은 순간을 정확하게 포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바닥에 남아있던 입자와 부딪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종말속도의 정확성을 위해 구간 5는 제외하고 가장 일정한 구간을 찾았다. 따라서 구간 2~구간 4에서 가장 차이가 작은 연속되는 두 구간의 침강속도의 평균을 구하여 1~3회차 각각의 종말속도를 구한 뒤 이들 값의 평균을 내어 bead의 종말속도를 구하였다. Zirconia bead 10mm의 경우 침강속도가 매우 빨라 4회에 걸쳐 침강속도를 측정하였다.
참고자료
· https://www.aciscience.org/docs/Physical_properties_of_glycerine_and_its_solutions.pdf / glycerol 밀도, 점도 문헌치
· https://www.scienceall.com/%ED%95%AD%EB%A0%A5drag-reaction/ / 항력의 정의
· https://www.scienceall.com/%EC%B9%A8%EA%B0%95downwelling/ / 침강
· McCabe의 단위조작 7판/ Warren L ∙ McCabe/ McGrawHill Education / p.133~148
· https://en.wikipedia.org/wiki/Terminal_velocity / 종말속도
· https://en.wikipedia.org/wiki/Reynolds_number / 레이놀즈 수
· https://en.wikipedia.org/wiki/Drag_coefficient / 항력계수
· 조립입자 침강속도에 대한 실험적 관찰 및 비교분석/ 손무락 외 1명/ The Korean Geo-Enviromental Siociety/ p.33~38
· McCabe의 단위조작 7판/ Warren L ∙ McCabe/ McGrawHill Education / p.14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