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주
문헌내용
대상자
질환명
preg 40+3 CPD. fetal distress
정의
가사란, 호흡 순환 부전을 주요 소견으로 하는 증후군으로서, 자궁 내의 태반 호흡(혈액 가스 교환)에서 출생 후 폐 호흡의 확립에 이르는 적응 과정 중 산소 결핍으로 초래되는 일련의 장애 현상을 말한다. 출생 후 수 분 내로 폐 확장이 일어나지 않으면 환기와 폐관류가 확리되지 않아 점차 악화된 저산소증, 고탄산혈증 및 대사성 산혈증이 발생한다.
따라서, 폐 호흡 부전에 동반하여 순환계와 대사계의 장애가 연쇄적으로 나타나며, 조직 저산소증, 허혈 및 산혈증이 초래되어 불가역적인 기관 손상이 초래될 수 있다. 소생술을 시행하지 않는 한 이러한 병태 생리적 악순환은 지속된다. 태아기 가사를 태아 곤란증(fetal distress)이라 하고 출생 후 가사를 신생아 가사라 하며 이 모두를 주산기 가사라고 하는데, 혈액 가스 검사에서 저산소증(hypoxia), 고탄산혈증(hyper-carbia), 산증(acidosis)이 동반되어야 한다.
원인 및 병태생리
원인
‣ 출생 전 : 모체 혈액의 저산소증(마취에 따른 환기 부족, 청색형 심장병, 호흡 부전, 일산화탄소 중독), 모체의 저혈압(척수 마취, 자궁에 의한 하대 정맥, 대동맥의 압박), 과다한 양의 옥시토신에 의하여 태반의 순환을 방해할 정도의 자궁근의 이완부전, 태반의 조기 박리, 탯줄의 압박 및 꼬임에 의한 순환 부전, 다양한 원인에 의한 태반 순환 부전(임신 중독증, 과숙아)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출생 후 : 심한 빈혈(심한 출혈, 용혈에 기인하며 산소 포화도를 낮출 수 있는 정도), 심한 쇼크(감염, 대량 실혈, 두 개 내 출혈, 부신 출혈 등에 의하여 세포로의 산소운반 저해가 초래될 정도), 호흡 부전(중추 신경계 질환, 마취에 의한 혼수) 및 산소화 장애(중증 청색형 심장 질환 및 폐질환)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