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들어가며
John Durham Peters는 그의 서설에서 프랑크푸르트학파 창시자인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와 아도르노(Theodor W. Adorno)의 저서 『계몽의 변증법(Dialectic of Enlightenment, 이하 DA라 약칭)』과 더불어 문화산업에 관하여 논의를 펼치고 있다.
이에 다음에서 DA에 나타난 주요 명제인 계몽과 신화에 대해 알아본 후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거느린 강력한 상비군의 하나인 문화산업에 대해서 살펴보려 한다.
Ⅱ. 계몽의 변증법과 문화산업
계몽의 변증법에 나타난 계몽과 신화 그리고 오디세우스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DA에서 계몽의 역사 전반을 추적하였고 그 과정에서 특히 지배와 사고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그들의 최초 문제 제기는 "왜 인류는 진정한 인간적인 상태에 들어서기보다 새로운 종류의 야만에 들어섰는가"라는 것이다. 이때의 야만이란 자본주의가 필연적으로 낳은 파시즘과 사회주의가 낳은 전체주의인 스탈린주의를 두고 한 말이다. 이는 더 나은 것으로의 진보한 역사가 아니라 인간에 의한 자연과 인간의 폭력적인 지배가 진보해가는 과정의 역사로 파악된다. 이러한 인식하에 그들은 계몽의 자기파괴과정을 선택하게 되는데 여기서 그들은 계몽에 대한 이중적인 견해를 드러낸다.
참고자료
· 1. 김지운·방정배·정재철. (2000). 《批判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 2. M. Horkheimer & Th. W. Adorno. 김유동 역. (2003).《계몽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사
· 3. John Storey. 박 모 역. (2000).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 4. 원용진. (1997).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 5. 이순예. (2002).《『계몽의 변증법』, 아도르노 그리고 하버마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