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학교 성인간호학 실습3 지침서입니다.
※ 지침서 내용이 변경될 수도 있으니 미리보기 확인하시고 구매해주세요※
Ward Class, check list는 이론 채우는 부분이 많은데, 그건 내용이 다들 비슷해서 똑같아도 신경 안씁니다! 빈칸만 없으면 되니 복붙해서 사용하세요.
실습일지, Q&A만 참고해서 따로 작성하면 될거 같아요.
1) 관절천자와 활액 분석(Arthrocentesis with Synowal Fluid Analysis, Joint Aspiration)
- 관절천자는 무균바늘을 관절강에 삽입하여 활약을 뽑아내는 검사이다.
- 금기사항: 피부감염이나 상처가 있는 곳을 천자바늘이 통과하게 되면 패혈증의 위험이 있는 환자
2) 관절강 조영술 (Arthrogram)
- 연조직 관절 구조를 조명하는 방사선 검사
- 국소 마취 후 무균적으로 조영제를 관절강 내로 주입
- 관절을 움직여 보면서 일련의 사진 관찰
- 검사 전 배뇨 검사후 격렬한 운동 피하도록 한다.
3) 관절경검사 (Arthroscopy)
- 내시경을 통해 관절을 검사하는 것
- 수술실에서 문균적으로 시행하고 국소마취시행
- MN NPO
- 필요시 제모
- 검사 후 24hr 내 무리한 활동 삼가
- 검사 전후 간호
● 환자와 가족에게 검사 절차 등에 대해 설명한다.
● 전날 밤 12시부터 금식을 하도록 교육한다.
● 국소마취를 하는 경우 관절경이 삽입될 때 약간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
● 환자에게 검사 후 있을 수 있는 감염 징후인 체온상승, 절개부위의 국소적 염증 등에 대해 설명하고 그런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알리도록 교육한다.
● 검사 후 적절한 진통제를 투여한다.
● 대부분의 환자는 정상식이가 가능하다.
● 수술적 절개를 하지 않았다면 감각이 돌아오는 대로 걸을 수 있으나 격렬한 운동은 며칠간 금하도록 한다.
● 관절경 검사 후 탄력붕대로 환부를 감고 2~3일 동안은 과다하게 환부를 움직이지 않도록하여 보행을 자제하게 한다. 흔히 24시간 동안 검사 부위를 고정한다.
4) 척수강 조영술 (Myelography)
- 관절강 조영술처럼 조영제 주입하고 X선 촬영을 하는 것
- 척수강 조영술은 추간판 탈출증을 진단하기 위해 척주관과 척수를 검사하는 것
5) 골밀도 검사(Bone densitometry, BDM 혹은 bone mineral density. BMD)
골밀도 검사는 골다공증의 진단, 골절의 위험인자의 예측, 질병 치료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골밀도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